음향 라인 종류 - eumhyang lain jonglyu

Level(레벨)은 오디오 장비의 신호들은 

신호 전압의 변화를 dB(데시벨)로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Mic Level(마이크 레벨)

음향 라인 종류 - eumhyang lain jonglyu
(왼 : 다이나믹 오 : 콘덴서)

Mic Level은 헤드폰이나 이어폰으로도 들을 수 없을 정도의 매우 낮은 레벨입니다.

다이나믹과 콘덴서 마이크의 출력 신호가 여기에 포함되며

범위는(no signal)에서 - 20dBu(77.5mv)까지입니다.

레벨 신호를 프로세싱하려면 증폭이 필수적이고

마이크 프리앰프 혹은 헤드앰프가 이러한 미약한 신호를 라인 레벨로 높여주는 장비입니다.

음향 라인 종류 - eumhyang lain jonglyu

다이나믹이나 리본 마이크 경우

매우 낮은 출력 레벨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많은 게인 증폭을 필요합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 프리앰프를 사용합니다.

저출력 마이크는 음원과 마이크로부터의 거리에 의해 발생되는 dB SPL에따라

50 ~ 70dB의 게인을 필요합니다.

음향 라인 종류 - eumhyang lain jonglyu

콘덴서 마이크는 적절한 신호 레벨을 얻기 위해 적은 증폭을 필요로하는 고출력을 갖고 있습니다.

콘덴서 마이크는 마이크 출력이

전압을 제공하는장된 앰프(헤드 앰프)가 있기 때문에 보통 10 ~ 30dB의 게인을 필요합니다.

마이크의 감도mV/Pa 단위로 측정합니다.

94dB SPL 또는 1Pa에서 1kHz의 입력을 사용하여 mV단위로 마이크 출력전압을 측정한 값입니다.

다른 마이크의 출력 레벨을 비교하는 데 표준입니다.

감도가 높을수록 마이크의 출력이 더 높아져 동일한 입력 신호에 대해 더큰 전압을 출력을 제공합니다.

Line Level(라인 레벨)

Line Level은 헤드폰으로 들을 수 있을정도의 레벨이며

(마이크 레벨보다 약 1000배 높은 신호)

앰프로 진폭 하기 이전 단계에서 가장 강한 레벨 신호입니다.

신디사이저, 콘솔출력, 리미터와 컴프레서, 딜레이, 리버브 그리고 이퀄라이저 등

모든 오디오 장비의 입력과 출력 레벨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범위는 -20dBu ~ +30dBu(24.5 V)까지입니다.

일반적으로 프로페셔널 라인 레벨과 컨슈머 라인 레벨이 있으며

두 가지 레벨을 서로 전환할 수 있는 장비들도 존재합니다.

프로페셔널 라인레벨(+4dBu)

오디오 장비는 기술적으로 + 4 dBu인 프로 라인 레벨표준으로 하며 보통 +4라고 합니다.

테이프 머신이나 콘솔을 사용했을 당시에

VU 미터에서 +4dBu의 입력/ 출력 레벨이 0으로 변환되도록 장비들을 표준으로 맞추었습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출력 단자에 XLR이나 TRS 밸런스 커넥터를 사용하는

Line Out/Sned 단자 프로페셔널 라인 레벨 출력이며

라인 레벨을 출력하는 장치의 출력을 마이크의 입력이나 악기 입력 단자로 바로 보내면

강한 신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디스토션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또한 + 4dBu의 레벨을 사용하는 장비들끼리는 상호 호환이 가능합니다.

마이크 프리 앰프나 콘솔이 +4dBu의 레벨로 출력을 한다면 +4dBu로 작동되는

컴프레서, 딜레이등 같은 아날로그 장비나 오디오 인터페이스이 입력 도는 파워 스피커에서 레벨이 불일치하는 일 없이

연결할수 있습니다.

컨슈머 라인 레벨(-10dBv)

컨슈머 및 세미프로 장비는 일반적으로 - 10dBv을 사용합니다.

DVD/CD 플레이어나 홈 테이프 레코더에서 사용하는 출력 레벨입니다.

이 출력은 RCA 커넥터/ 언밸런스 1/4 케이블 사용합니다.

음향 라인 종류 - eumhyang lain jonglyu

일반적인 수치로 - 10과 +4의 차이는 14이지만

+ 4dBu 프로페셔널 레벨과 - 10dBv 컨슈머 레벨에서 작동하는

유닛 간의 레벨의 실제 차이는 11.78dB입니다.

이러한 실제 레벨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dBu와 dBv 사이의 표준 측정의 차이가 있기 대문입니다.

-10dBv 출력의 DVD 플레이어를 콘솔의 +4dBu 입력에 연결하면 12dB 정도로 낮은 출력으로 재생되고

+4dBu 장치의 출력을 -10dBv 입력에 연결하면 약 12dB의 과부하가 생길수 있습니다.

Speaker Level(스피커 레벨)

Speaker Level은 스피커를 구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상당히 큰 레벨이며

파워 앰프 출력, AC 전원선 그리고 24 V이상의 전동 DC 케이블 레벨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범위는 +30dBu(24.5V)/ + 30dBm(600옴 양단의 24.5V = 1W)이상입니다.

음향 연결잭 종류와 용도

XLR 커넥터 / 캐논


기본적 음향 케이블이다.

마이크 연결, 스피커로 출력, 파워앰프로

소리를 보낼때 사용된다.

다이렉트 박스에 연결할때도 사용한다.

55 모노 연결잭 / TS 캐이블 /

언밸런스 케이블(unbalanced cable) / 모노 케이블(mono cable)


악기 연결에 주로 쓰인다.

기타 연결잭, 건반 연결잭, 어쿠스틱 기타 연결잭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소형 콘솔의 경우

메인스피커 아웃이 이 55케이블로 사용되기도 한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위 사진의 금색부분중 검은 줄의 숫자에 따라 케이블이 달라진다.

1줄인 경우 TS캐이블, 모노케이블, 언밸런스 케이블이고

2줄인 경우 TRS케이블, 스테레오 케이블, 밸런스 케이블이 된다.

55 스테레오 연결잭 / TRS 케이블 /

밸런스 케이블(balanced cable) / 스테레오 케이블


연결 부분이 검은색이 2줄인 케이블이다.

사실상 잘 안쓰인다.

믹싱 콘솔은 기본적으로 모노채널을 입력 받기때문에

특수한 경우나 선정리의 이유로 사용되긴 해도

많이 사용되진 않는다.

35 케이블 / AUX케이블 / 이어폰 연결잭


흔히 본 이어폰 연결잭이다.

휴대용 가전기기, 차량용 AUX 케이블로 많이 사용된다.

헤드폰 연결잭의 헤드폰쪽이

2.5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는것을 제외하면

국내에서는 거의 모든 제품이 3.5를 기준으로 사용한다.

(일부 해외제품, 구형 핸드폰과 자동차의 AUX단자는 2.5를 사용한다.)

RCA 단자


음향에서도 쓰이고 영상에서도 쓰이는 단자다.

흰색이 왼쪽, 빨간색이 오른쪽에 연결한다.

믹싱 콘솔에도 많이 연결되며

다른 오디오기기에도 많이 사용된다.

스피콘 커넥터


패시브 타입의 스피커를 연결할때 사용하는 커넥터다.

파워앰프를 거쳐 나온 소리를

전기와 함께 보내어

자체적 전기 공급장치가 없는 패시브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게 해준다.

내부는 1+,1-,2+,2-로 4가지로 나눠져있지만

2가닥만 +,-에 연결해주면 소리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