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새들 빼는법 - gita saedeul ppaeneunbeob

몇몇 분께서 브릿지핀을 끼우고 빼면서 힘들어 하는 내용이 좀 보여서 몇글자 적어봅니다

일단 브릿지핀의 용도는 소리를 가장 크게 좌우하는 상판에 스트링음이 브릿지로

올바르게 전달될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합니다

물론 하현주(새들) 또한 스트링의 음을 상판으로 전달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브릿지핀의 경우엔 상판에 무리가 가지않게 스트링을 잡아주면서 음전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죠

(그래서 핀이나 새들의 재질에 따라서 톤이 바뀐다는 말을 하게 됩니다)

결국 스트링을 잘 달아야 상판에 무리도 안가고 음전달도 잘된다는 거죠

일단 위 사진은 피트하게 핀이 아주 잘 맞는 편입니다

이 사진의 핀은 덜 박히긴 햇지만 기능적인 면에서 문제가 없습니다

이정도 덜들어가는 정도는 양호하고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그러나 핀의 1/3이상 덜들어간다...한다면 그건 문제가 되죠

핀자체가 호환되지 않는 사이즈를 끼웠다고 보시면 되고

덜들어가는 경우엔 자기 기타에 맞는 규격의 핀을 찾아보거나

핀홀을 다듬어서 피팅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요건 아래에 부연설명)

살짝 헐렁한 정도도 스트링을 잡아당겨 끼운상태에선 더이상 움직이지 않고 안정화 되기때문에

이상이 없는거지만

심하게 헐렁거릴 정도라면 그 핀은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줄교체할때 스트링을 이렇게 극단적으로 눕혀서 핀을 끼우다보면

좌측은 잘못된 예

우측은 올바른 예입니다

핀을 잘못끼웠을때 줄감개로 줄을 조이다보면 통안에서 핀에 무리가는 소리가 들리는 경우가

바로 이런경우입니다

핀도 손상이 가기도 하지만 악기에도 무리가 가겠죠 소리전달도 제대로안되고

그럼 어떡케 하면 스트링과 핀을 올바르게 결합하는 방법일까요

스트링 끄트머리는 살짝 각을 줘서 핀홀에 잘 끼어지게해주시고

스트링 텐션은 최소화시키고 빨간색부분처럼 브릿지와 스트링은 거의 직각에 가깝게 세운상태에서

쓰윽집어넣으면 핀홀에 억지로 끼이지 않고 잘 집어 넣을수 있습니다

핀은 억지로 힘을 주어서 눌르지 마세요

나중에 핀 뽑을때도 문제가 되고

일단 스트링결합후에는 수직으로의 힘전달보다는 측면쪽으로의 힘유지가 되기때문에

극단적으로 연주중에 핀이 뽑히거나 스르르 빠지는 그련일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핀이 제대로 장착되었다면

끝으로 하지 말아야할 몇가지를 알려드리면

밴치나 금속제 니퍼로 핀을 뽑지마세요

플라스틱이건 황동이건 목재핀이건 다 자국생깁니다

밴치나 니퍼를 이용할때는

너무 억짂끼워맞춤된 핀을 제거하는 용도로만 쓸때 사용하세요

가능하면 고가의 목재핀이라면 줄감개겸용 뽑개도 사용하지마세요

이것도 자국생깁니다

요런 전용 리무버를 사용하되

가급적 끼운상태에서 리무버를 내려서 뽑지말고

리무버자체를 살짝씩 올려서 뽑아내야 브릿지에 상처를 덜 줍니다

(단 억지끼워맞춤된 브릿지핀은 이런 플라스틱류 핀뽑개로 뽑기 힘들수 잇습니다

오히려 리무버가 작살나는 경우도 생깁니다

이건 리무버 잘못이 아니라 핀을 너무 심하게 끼워놓아서 이죠

이럴땐 어쩔수 없이 니퍼나 밴치를 이용하겠죠)

요즘은 아예 브릿지쪽에 손상이 안가도록 하는 리무버도 나왔군요

끝으로 핀이 덜들어가는 경우에 대한 조치법입니다

1. 사포로 핀을 피트해질때까지 갈아준다...

(가내수공업이죠 한개가 아니라 여섯개를 사포로 갈아내려면 상당한 시간과 피로감이...ㅎㅎ)

2. 핀홀확장...

저개인적으로는 핀홀확장을 추천하는데

이게 고가의 기타일수록 오리지널파츠그대로를 유지하고픈 분들은 꺼려하는 공정이기도 합니다

어쩔수 없죠..

오리지널파츠를 유지하실분은 그냥 그대로 사용하셔야 할것이고

나는 핀홀확장에서 쓰겠다는 분들은

브릿지용 전용리머로 다듬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어떤분은 핀홀확장을 이미 뚫려있는 핀홀을 더 큰 드릴로 뚫는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는데

이미 구멍뚫린 핀홀은 더 크게 구멍을 뚫을필요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마틴형은 5도각도

테일러형은 3도각도를 갖고 있는데

그 각도를 맞추어서 리머를 사용해서 살짝 다듬는 과정을 핀홀확장이라고 표현하는 것이죠

조심해야 할것은 아무생각없이 돌리다보면 오히려 헐렁해질수도 있다는...ㅎㅎㅎ

그래서 이런건 손재주 없거나 책임못질 일에 대한 두려움이 잇는 분은 리페어샵을 가시는게 좋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LAG 통기타. 줄높이가 높아도 너무 높다는 느낌이 줄곧 있었다. 12플렛에서 거의 4-5mm 정도가 떠 있으니 뒤로 갈수록 더 높아지는 느낌...... 좀 부담스러웠다는.

줄은 빼지 않아도 된다. 충분히 헐겁게 풀어준 후, 다음과 같이 새들을 살짝 빼어준다.

집에 있던 굵은 사포로 갈아줬는데, 미리 한쪽 구석에 1mm 정도 삭제할 것을 표시해두고 갈아준다. 이거 표시하지 않으면, 도대체 얼마나 갈았는지를 알 수 없게 됨.

1차로 1mm 정도를 갈아주고 장착했더니, 약 3mm 정도의 줄높이가 나온다. 흠.... 괜찮긴 한데, 조금 더 욕심을 내보기로 했다. 어차피 버징도 없고 하니. 2차로 1mm 약간 안되게 갈아줬더니 2.4mm 정도로 낮아졌다. 물론 버징도 없고, 플레이 하기가 더 쉬워졌다. 쾌적해진 느낌이랄까.

맨 위 사진이 세팅완료후 촬영한 LAG 통기타임. 개인적으로 컷어웨이 기타를 선호하기에 아주 만족스럽게 느껴짐....ㅎㅎ.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다양한 줄높이를 추천하는데, 개인적으로는 3mm 도 좀 높은 느낌이다. 약 2.5mm 를 추천함.

  • ��ü ī�װ���
    • ���Ÿ

      • �Թ���Ÿ

        • 10~20������(����)
        • 20~40������(ž��)
        • �Ⱦ���Ÿ
      • �߱ޱ�Ÿ

        • ž�ָ���
        • ž��ָ���
        • �Ⱦ�
      • �üָ����Ÿ

      • �̴ϱ�Ÿ

      • �귣�庰

        • ��ƾ
        • ���Ϸ�
        • ��Ʈ
        • �����
        • ��ƾĿ����
        • LAVA
        • �ñ׸�
        • ������
        • ������Ʈ��
        • ��ũ���
        • ũ������
        • ���𷼷�
        • �÷� ���� �ο��
    • �׼�����

      • ��ũ/���̽�
      • ��Ÿ��
      • Ʃ�ױ�
      • ī��
      • ��Ʈ��
      • �ܰ�����
      • ��������
      • ���ð���
      • ��Ÿ��ǰ
      • �����/����
      • ���ĵ�
      • ���̺�
      • ������
      • ������ƽ����
      • �Ⱦ�
      • ��Ÿ���̽�
      • ����/�Ǻ���
      • ī��/����Ŀ
      • ����
    • ETC

      • �̺�Ʈ
      • ����
      • ����
      • Ŀ�´�Ƽ
  • ���Ÿ
  • �׼�����
  • �˶㼥
  • �̺�Ʈ
  • ����
  • ����
  • ����
  • Ŀ�´�Ƽ
KAKA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