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기능 저하 간호과정 - injigineung jeoha ganhogwajeong

  • 인지기능 저하 간호과정 - injigineung jeoha ganhogwajeong
    등록일 / 수정일
  • 인지기능 저하 간호과정 - injigineung jeoha ganhogwajeong
    페이지 / 형식
  • 인지기능 저하 간호과정 - injigineung jeoha ganhogwajeong
    자료평가
  • 인지기능 저하 간호과정 - injigineung jeoha ganhogwajeong
    구매가격

  • 2020.08.08 / 2020.08.08
  • 4페이지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해당 자료는 전체 4페이지중 4페이지의
  • 미리보기와 0페이지의 상세내용을 제공합니다.
  • 1페이지부터는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고 싶은 말<인지기능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Risk for falls)> 간호과정입니다.
치매(Dementia) 대상자에게 꼭 맞는 내용이에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내용이 모두 담겨 있구요,
(참고로 대상자는 인지기능저하로 교육이 어려운 상태여서 보호자, 요양보호사님 교육입니다^ ^)
간호계획과 간호수행 그리고 이론적근거까지 항목 하나하나 신경써서
꼼꼼하고 자세하며 구체적으로 정리했어요.
간호목표와 간호평가도 잘 되어 있습니다.
참고 자료를 찾아가며 제가 정말 열심히 직접 작성한 자료입니다.
분명히 도움됩니다. 꼭 A+ 받으세요 ^^ 감사합니다.

목차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수행

6. 이론적 근거

7.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본문내용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1) “나 집에 갈란다. 볼일 다 봤는데 뭐하러 있을 거고. ”
(2) “여기 은행 아니가? ”

▷ 객관적 자료
(1) Dx: Alzheimer's Dementia
(2) 치매로 입원 중이며 병동 내에서 주변의 장애물이나 물건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움직여 잘 부딪힘.
(3) 병동 내에서 자주 복도를 걸어다니는 모습 관찰되며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려 걸을 때 불안정해 보이는 상태임.
(4) 인지저하로 인해 조심해서 걸을 것을 지도해도 이해하지 못함.
(5) 사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은 있다가 없다가 하며 장소에 대한 지남력은 완전히 없는 상태임.
(6) 간이정신상태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검사 결과: 13점
⇒분명한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 상태 확인함.
(7) [Morse 낙상 위험 사정 도구]로 낙상 위험도 평가결과 : 90점
⇒낙상 위험성이 높음(High risk) : 대상자는 낙상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관찰과 중재가 요구되는 상태임을 확인함.

참고문헌성인간호학 (2019).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2020). 수문사. 송경애 외
노인간호학(2017). 수문사. 윤숙희 외
정신간호총론 제7판(2017). 수문사. 임숙빈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과정 실무지침: 개정판(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2014).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이민자 옮김
학술자료: 『보행과 인지장애의 연관성』(2013). 대한치매학회지. 12: p.94-99. 고려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경과. 한정훈 외.
학술자료: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Falls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2017). Jane Hendriksen, MPT.
대한치매학회: www.dementia.or.kr
약학정보원: www.health.kr

먼지나 화학물질과 같은 유해물질에 노출시 환기기능 장애 유무나 객관적 판정 등에 이용됩고, 흡연과 같이 위험인자에 노출된 분들에서 폐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또 만성기침, 호흡곤란, 가슴 통증과 같은 증상의 원인을 찾는데 이용되고, 호흡기계 질환의 수술 전후 환자의 상태를 평가할 때 사용된다.검사전
폐기능 검사는 모두 환자들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므로 정확한 검사를 시행할 수 있도록 환자들이나 보호자의 협조를 구해야 하고 환자가 지칠순 있으나 고통스러운 검사가 아니므로 특별한 간호는 없다.FEV1/FVC%가 70%미만일 때 폐쇄성 환기장애로 볼 수 있고,FEV1/FVC%가 70%이상일 때 FEV1%가 80%미만이고 FVC%가 80%이상이라면 폐쇄성 환기 장애를 의심할 수 있다.


대상자: WNL KUB석회화, 수신증, 낭포, 종양, 치환신장 같은 변위를 알기 위해특별한 전후간호는 없고 다른 검사 시행 전에 한다.-Non specific bowel gas pattern
-No abnormal calcific shadow in the
both kidney, ureter course
-Phlebolith in the pelvic cavity 

심전도 검사심근 경색증 진단에 유효, 심장검사, 수술시의 감시장치, 중환자 감시장치에 사용검사전
환자에게 검사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환자에게 음식 또는 수분 제한은 필요하
지 않다고 말한다.
-전류가 환자에게 흘러나오고 있다는 것을
설명해주고 이 과정 중에 아무 느낌이 없
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환자의 가슴과 팔만 노출시키고 배와 허
벅지는 적당히 덮어준다.
검사중
-전극을 부착하기 위한 피부는 피부 오일과
피부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알코올로 닦
는다. 모발이 많으면 면도를 해야 한다.
-전기전도를 돕기 위해 전극연고를 피부와
전극 사이에 사용한다.
-4가지 사지 유도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
여 사지에 전극을 감싸주는 고리를 사용
한다.
-많은 심장전문가들은 팔 전극을 근육의 떨
림이 적은 상완에 부착하도록 권유한다.
-ECG의뢰서에 환자가 복용하는 약물 목록
을 작성한다.
-이 검사가 불편감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ECG가 기록되는 동안 말하지 말고 앙와위
로 누워있어야 한다고 환자에게 말한다.
검사후
환자 피부에서 전극을 제거하고 피부를 닦
아준다.
-환자가 검사중에 흉통이 있었다면 ECG
strip이나 의뢰서에 명시해야 한다. 이 통
증은 ECG에서 부정맥과 상관관계가 있을
지도 모른다.Normal sinus rhythm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K-MMSE-전반적인 인지기능을 파악하
는 도구이다.
-'지남력, 세단어의 기억등록,
집중력, 계산, 단어회상, 언어
및 공간구성'으로 이루어진
세계적으로 가장 흔히 쓰이는
치매선별검사도구
-단점: 연령, 교육수준의 영향
을 받고, 초기인지기능장애
를 찾기 힘들며, 교육수준이
낮거나 언어장애가 있는 경우
시행이 어려우며, 뇌혈관성치
매에 민감하지 않다.검사전
1. 검사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조용한 환경
제공.
2. 주의가 산만해지지 않도록 한다.점수대 별 해석
- 15~19점: 경증치매 의심
- 14점 이하: 중증치매 의심
- 20~23점: 치매의심
- 24점: 정상
(대상자: 총점 19점, 11/3 시행) X-ray
(chest/hip joint)해부학적 구조와 병리적 경과를 관찰하기 위해 실시한다.검사전
금속 물질의 장신구를 제거한다.
검사를 진행하는 동안 움직이지 않고 통증이 없을 것임을 교육한다.
조영제를 사용할 경우 요오드에 대한 알러지 반응 검사를 먼저 실시한다.
조영제를 사용할 경우 검사 8시간 전부터 금식을 유지한다.

검사후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는 다면 이 검사와 관련된 합병증이나 주의사항은 없다.
조영제를 사용했을 경우 수분섭취와 배설을 격려한다.
Chest
No active / mild cardiomegaly


Hip joint
Mild degenerative change (both HJ)
Phlebolith in the pelvic cavity 

 

(2) 가족

<1> 일반정보(General Information)

인지기능 저하 간호과정 - injigineung jeoha ganhogwajeong

 

<2> 가족구조도(Genogram)

인지기능 저하 간호과정 - injigineung jeoha ganhogwajeong

 

(3) 자료요약(summary)

48세 여성 신XX 씨는 20XX-1년 9월 23일 집에서 갑자기 Lt. side weakness와 함께 stroke으로 쓰러진 뒤, XXXX병원 응급실로 입원하고 Rt. MCA infarction으로 진단받 음. 이후 바로 IA thrombectomy 후 midline shifting과 stuporous state로 NS 전과 후 Craniectomy op. 시행함. 10/7에 NR로 전과하고 11/18에 Cranioplasty 시행함. Lt. hemiplegia로 진단받음.

이후 0000병원과 서울00병원에서 재활치료 후 20XX년 8월 4일 친정인 제주에서 0000병원으로 통원치료하고 10/11에 포괄적인 재활치료를 위해 XX재활원으로 입원함.

10/12에 hip joint AP & LAT 검사 상 mild degenerative change in both hip joint와

phlebolith in the pelvic cavity 소견 보이고, KUB 검사 상 nonspecific bowel gas pattern, no abnormal calcific shadow in both kidney, ureter course이나 마찬가지로 phlebolith in the pelvic cavity 소견 보임.

10월 24일에 chest discomfort호소하여 10/24, 11/7, 11/18 EKG 검사 시행하였고 normal sinus rhythm과 VPC 소견(10/24)으로 methylphenidate 복용 후 답답함 호전됨.

Lt. hand의 악력이 약하고(G4), 감각이 무딤.

11/21 면담 시 Lt. upper or lower limb에 numbness sign 호소(“왼쪽 팔하고 다리가 저려요.”)하였으나 22일 오전에는 호소하지 않고, sputum이 자주 나온다고 하였으며(“어렸을 때부터 가래가 자꾸 껴요.”, allergic rhinitis의 과거력, 21일에 nebulizer 시행), 오후에는 불편감이 없다고 하였으나 이후 가슴이 답답하다고 표현함. 또한 소변을 자주 본다고 말함 (“소변을 자주 봐요.”, 신경인성 방광, 낮에는 15-20회, 밤에는 약물로 조절하여 1-2회(Toviaz)). 하루에 수분 1L 섭취함(하루에 500ml 물병으로 한 병도 못 먹는다고 함).

11/21 면담 시 person에 대해서만 지남력이 있고 time에서는 11월 24일 목요일이라고 답 하고 place에서는 수서 쪽이라고 대답하였음. 또한 자신의 나이를 45세라고 하였으며 24세인 딸은 17세, 21세인 아들은 14세라고 대답하였음. 보호자에 대한 표현으로 “이 사람이 없었으면 난 벌써 죽었어요.”라고 말함.

11/22 면담 시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는 계단 오르기, 목욕하기에서 보호자의 도움이 약간 필요하며, 식사와 옷 갈아입기는 가져다주기만 하면 독립적으로 시행하고 보행, 용변처리, 대/소변 조절, 침대로의 이동에서는 독립적으로 시행함.(MBI=93, 10/12에는 69점) 또한 대변을 요새 못 봐서 걱정이라고 하였으나 보호자나 간병인을 통해 하루에 1-2회씩 보는 것으로 확인됨. 또한 식사의 경우 아침식사는 용무가 있어서 못 먹었다고 하고 잘 기억이 안 난다고 하였으나 보호자를 통해 식사한 것으로 확인됨. 객담의 양은 적고, 양상은 맑고 투명하며 점도는 낮음. 자신의 상태에 대해서 병원에 있는 이유는 머리 때문이라고 알고 있으며 craniectomy와 cranioplasty op. 진행한 사실이 기억 안 난다고 함.

11/23 면담 시 sputum이 조금 있다고 하여 청진하였으나 천명음이 들리지 않았음. 보호자의 진술로는 지난 8월 제주도에서 통원치료 받을 때 낙상 경험 1회 있다고 함. 면담이나 재활치료 도중 수시로 화장실을 가는 모습을 관찰함. 보호자의 진술로는 새벽에 화장실 갔다가 옆 병실인 509호로 들어가려 했다고 하고 이전에도 자신의 병실을 못 찾았다고 함. 또한 아침에 약을 안 먹었다고 하였으나 (“약 아직 안 먹었어요, 식사도 안했어요.”) 보호자를 통해 식사 후 약물 복용한 것으로 확인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