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소서 공동체 기여 - jasoseo gongdongche giyeo

자소서 공동체 기여 - jasoseo gongdongche giyeo

 자신의 가치관 드러낼 수 있는 상황 구체적으로 제시  
자소서 2번 문항은 지원자의 인성과 공동체의식을 평가하는 문항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자기가 착하다는 것을 부각시키는 오류를 범한다.

입학사정관들은 착한 사람을 뽑으려는 게 아니라 사회구성원으로서 자기 역할을 충실히 할 지원자를 선발하려고 한다. 따라서 고교생활 중 공동체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배려, 나눔, 협력, 성실성, 리더십 등을 어떻게 발휘했는지 보여주면 된다.

4가지 영역을 나열해도 상관없고 가장 돋보이는 것 1~2가지만 써도 된다. 나눔과 배려, 협력과 갈등관리를 묶어서 작성하면 쉽게 접근 가능하다. 단, 800자라는 제한이 있으므로 두 가지 사례보다는 한 가지 사례에 2~3가지 역할과 역량이 드러나도록 구체적으로 서술해야 한다.

도움을 준 행위로 어떻게 성장했는지 기록하기  
봉사활동은 진정성, 지속성, 자발성이 중요한 만큼 일회성 활동은 안 쓰는 게 좋다. 봉사는 도움을 준 사례보다 도움을 준 과정에서 자신이 어떻게 변화하고 성장했는지가 더 중요하다. 또 변화와 성장 내용은 활동 이후의 추후 연계활동으로 써 주는 것이 좋다.

예컨대 인근 초등학교에 재능기부 봉사를 했다면, 그 후로도 봉사를 계속했고 교내에 관련 동아리를 만들어 재능기부 활동을 더욱 확장했다는 식이다. 리더십을 강조하고 싶다면 리더경험을 쓰기보다 리더십의 진정한 의미와 리더의 역량을 기술해야 한다.

사실 사회에서 리더는 소수이고 대부분은 팔로어다. 리더십은 팔로어십을 통해 완성되는만큼 팔로어십도 중요한 미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나눔과 배려를 꼭 리더만 하라는 법은 없으니 리더십을 보여줄 이야기가 없다면 차라리 팔로어십에 관한 이야기를 쓰자. 공동체의 화합과 목표를 위해 구성원의 역할을 훌륭히 했다면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사회성 강조한 스토리텔링 하기 
2번 문항에서는 혼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사회적인 경험, 대인관계 경험을 쓰면 된다. 학교생활에서 보여준 본인의 인성을 드러내면 좋다. 여기에서 핵심은 ‘나를 보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 반이 합창대회에서 1등을 해서 기뻤습니다.’라는 말에는 지원자의 역할이나 기여가 없기 때문에 지원자의 인성을 평가하기 어렵다.

따라서 우리 반이 합창대회에 나갔을 때 곡을 선정한 과정, 내가 맡은 파트, 그것을 위한 나의 노력, 결국 1등을 하는 데 기여한 점, 1등을 성취하고 느낀 점 등이 기술되면 지원자의 인성을 잘 드러낼 수 있다. ‘나는 착하다’ 식의 스토리텔링이 아닌 ‘함께했기 때문에 성장했다’는 식으로 사회성을 강조하는 스토리텔링을 해야 한다.

자소서 공동체 기여 - jasoseo gongdongche giyeo

 * 에듀진 기사 URL :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384
  기사 이동 시 본 기사URL을 반드시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소서 공동체 기여 - jasoseo gongdongche giyeo

※ 이 게시물 내용 중, 해석(전망)전략 부분 내용은 개인 저작물입니다. 무단 전재 등의 저작권 침해 행위를 엄격히 금합니다.

2021학년도까지 쓰였던 자기소개서 문항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1. 고등학교 재학기간 중 학업에 기울인 노력과 학습 경험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을 중심으로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1,000자)

2. 고등학교 재학기간 중 본인이 의미를 두고 노력했던 교내 활동(3개 이내)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을 중심으로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단, 교외 활동 중 학교장의 허락을 받고 참여한 활동은 포함됩니다.(1,500자).

3. 학교 생활 중 배려, 나눔, 협력, 갈등 관리 등을 실천한 사례를 들고, 그 과정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을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1,000자)

4. 대학별 문항(500~1,500자)

올해 대입(2022학년도)부터 자기소개 문항이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

1.  지원한 분야와 관련하여 고등학교 재학기간 중 본인이 어떤 노력과 준비를 해왔는지 지원 동기와 본인에게 의미있었던 학습 경험, 교내 활동 등을 중심으로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1,500자) 

2. 학교 공동체(동아리, 학급, 학교 등)에 기여한 교내활동(수업활동 포함)을 본인의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800자) 

3. 대학별 문항 (800자)

■ 문항 수: 3+1에서 2+1로 줄었습니다.

■ 글자 수: 공통문항 기준으로, 1000-1500-1000이던 것이 1500-800으로 줄었습니다.

■ 내용

- 기존에 ①학습경험-②교내활동으로 구분되어 있던 것이 (지원동기와 관련된)학습경험·교내활동으로 통합되었습니다.

- 기존에 ③배려, 나눔, 협력, 갈등 관리 등의 실천 사례 (본인의 특성에 해당하는)학교 공동체에 기여한 교내활동 경험으로 보정되었습니다.

■ 해석(전망)

대학별 문항의 필요성 감소: 각 대학에서 '지원동기', '우리 대학에서 지원자를 뽑아야 하는 이유'를 4번 문항으로 설정하곤 했었는데, 이 내용이 변경된 1번 문항과 겹칩니다. 따라서 상당수의 대학이 2022학년도부터는 대학별 문항 없이 공통문항 2개만 물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만약 대학별 문항을 설정한다면 전혀 다른 것을 묻게 될 예정인데(예. 인생에 영향을 준 책, 특정 가치에 대한 생각과 관련 경험), 이렇게 별도의 내용을 물을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품성 관련 내용(2번 문항)은 생활기록부에 반드시 근거가 있어야 할 것: 변경된 2번 문항은 '공동체'라는 단서가 적시되어 있습니다. 기존의 3번 문항은, 생활기록부에서 근거가 빈약하거나 아예 없는 것일지라도 그럴듯하게(구체적이고 실감나게) 쓰면 어느 정도 인정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허위, 과장 기재가 많았던 것으로 각 대학에서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제 개인적, 사적으로 학교생활 중에 급우를 배려했다거나 도왔다는 내용은 설령 진짜 사실을 썼더라도 그 가치를 인정받기 어려울 것입니다. 생활기록부에 기재될 수 있는(=교사의 구체적 증언으로 뒷받침되는) 쓸 거리가 있도록 신경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행히 '수업활동 포함'이라는 단서가 들어가 있으니, 꼭 담임선생님께서 기재해주는 문구가 아니더라도 좋습니다.

■ 전략

'백지수표' 역량에 신경 쓰기: 생활기록부 진로희망사항 등이 대입에 반영되지 않을 예정인데, 고등학교 3학년 2학기 즈음에 쓰게 되는 자기소개서에서는 이제 필수(공통)문항에서 지원분야와의 관련성을 묻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자기소개서 작성 시점에서 최종적으로 선택하게 되는 대학-학과가 무엇이 되든 어필할 수 있는 '백지수표' 같은 역량을 챙기는 것이 현명합니다. 해당하는 역량이 무엇인지는 국가교육과정 총론에서 밝히고 있으니, 잘 읽어보고 이와 관련된 교내활동에는 적극 참여하기 바랍니다. 학생들은 국가교육과정 총론 말고, 각 대학 입학처 또는 교육청(교육부)에서 제공/안내하는 각종 진로진학 도움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얻거나 담임선생님 또는 교내 진학선생님과의 상담을 통해 정보를 얻기 바랍니다.

부연설명이 많이 필요 없는 내용에 신경 쓰기: 글자 수가 대폭 감소된 상황에서는, 자신의 경험이 어떤 것인지 배경, 맥락, 용어 설명하는 데 글자 수를 허비하는 것이 매우 큰 손실입니다. 따라서, 짧은 서술만으로도 어떤 내용인지 분명하고 강렬하게 전할 수 있는 클래식한 교내활동, 총체적인 교내활동에 더욱 신경 쓰는 것이 좋습니다.

학급(학생) 자치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기: 품성 관련 문항이 보정된 것에 발맞추려면, 생활기록부에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기재될 수 있는 공동체 기여 사례를 쌓아야 합니다. 주로 학급 단위 특색활동이 될 텐데요, 최상의 평가를 받으려면 학교 또는 담임선생님이 만들어 준 기회를 수동적으로 참여하는 것보다, 스스로 '기여의 장'을 만드는 데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드는 과정부터가 생활기록부에 기재될 수 있도록 하려면, 자치회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꼭 임원이 아니어도 학급회의 등에서 발안하는 것은 누구나 가능하므로 학교에(담임선생님께) 선수를 뺏기기 전에 먼저 적극성을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교과 수업에서 협력(팀) 활동에 적극 참여하기: 지금까지는 교과수업을 개별활동(개별과제) 위주로 운영하는 교사가, 수업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어서 수능대비에도 좋은 교사이고, 학생 간 교과세특의 유사성도 줄일 수 있어서 학종대비에도 더 좋은 교사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만약 학급자치회(학생자치회) 활동이 위의 전략처럼 운영되지 않는 학교(학급)이 있을 경우, 교과 수업에서라도 협력활동(팀활동, 멘토활동, 수업조교활동 등)이 고평가받을 수 있는 수준으로 이뤄져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가치가 높은 협력활동을 수업시간에 운영하면서도 기존에 해오던 것만큼 수능 대비도 되도록 지혜롭게 교과수업을 운영하는 교사가 가장 훌륭한 교사가 되었습니다. 학생 입장에서는 자신이 수강 중인 교과수업의 담당 선생님께서 가치가 높은 협력활동 기회를 따로 제공해 주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면, 기말고사가 끝난 시점에라도 그런 활동을 꼭 수업시간에 팀 단위로 할 수 있게끔 먼저 적극성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끝으로, 올해 1학년부터는 대입전형에서 자기소개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