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날씨 시동 - chuun nalssi sidong

요즘 같이 추운 겨울날 시동이 안걸리는 때가 종종 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부동액
추운 겨울에는 밖에 있는 수도물이 꽁꽁 얼어있는 현상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 내부에도 엔진의 뜨거운 열을 녹히기 위해서 물을 담고 있는데 추운 날씨가 되면 이 물이 얼어버리게 됩니다

물이 얼게 되면 수도를 틀어도 물이 안나오듯이 엔진이 가동되지 않습니다 이 물을 얼게 해주는 것이 바로 부동액 입니다

추운 날씨 시동 - chuun nalssi sidong

부동액이 얼지 체크하는 방법
자동차 본넷을 열게 되면 부동액이 들어가 있는 곳이 보일것입니다 부동액이 동상에 걸릴지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은 색깔을 보시는 것입니다.
부동액 원액은 짙은 녹색입니다 캡을 열었을때 냉각수의 녹색이 짙을수록 부동액의 농도가 높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동상이 안걸리게 되므로 교환할 필요가 없습니다

부동액이 새는지 체크하는 방법
또 주행을 하다가 앞에서 연기가 나는것을 보신적이 있으시죠? 이것이 바로 부동액이 부족해서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자동차가 오래될수록 부동액이 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히터를 작동했을 때 차 안에서 냄새가 나거나 눈이 따가운 경우에는 히터 라디에이터 또는 연결호스에서 부동액이 새면서 증발하기 때문입니다

차내 유리에 습기가 생기면 히터 라디에이터의 누수현상 때문이며 4~5년 이상된 차량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가까운 카센터에 가셔서 점검을 받으셔야합니다

사람에게는 맑은 피가 필요한 것처럼 차에는 맑은 냉각수가 필요합니다 추운 겨울철에는 적절한 시기에 부동액을 교환해 시동이 걸리지 않는 현상을 막아야합니다

 2. 배터리
일반적으로 자동차 배터리는 외부 온도가 20도 ~ 25도 여야 제 기능을 발휘합니다 자동차 배터리도 외부 온도가 영하로 떨어질 때에는 약 70%정도만 제 기능을 발휘하게 되며 영하 10도 ~ 20도에는 그 기능이 반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자동차 배터리는 수명이 평균 2년에서 3년정도 되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자주 관리를 해주셔야 합니다

배터리 방전 유무 체크하는 방법
경음기를 울려보거나, 전조등을 켜 보았을때 작동이 안된다면 배터리가 방전될 확률이 높습니다
간혹 전조등이나 계기판 램프 등이 켜질 때도 있지만 배터리가 완전 방전이 아닐 뿐 배터리 상태가 약하기 때문에 시동이 안걸린다고 할 수 있습니다

추운 날씨 시동 - chuun nalssi sidong

배터리 방전 유무를 확인해보는 방법은 배터리의 인티케이터 색상을 보는 것입니다 초록색이면 정상이고 검정색이면 충전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투명색이라면 배터리 방전을 의미합니다

3. 변속레버
운전 초보자분들이 실수를 많이 하는 부분이 바로 변속레버 위치 확인을 안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변속레버를 D(주행)이나 N(중립)에 놓은 채 시동을 끄고 내리시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당연히 시동이 안걸리게 되어 있습니다

변속레버가 D(주행)이나 N(중립)에 있다면 P(주차)로 바꾸신 후 시동을 걸면 됩니다

만약 이중주차가 되어 있다면 그냥 기어 변환이 안되고 쉬프트락 버튼을 눌러야 기어 변환이 가능합니다
변속레버 부분은 추운 겨울철 말고도 평상시에도 일어날수 있는 경우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4. 엔진오일
차량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엔진오일을 갈아주실 때 필터를 같이 바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오일은 자동차가 원할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윤활유 역활을 하고 있습니다

미션오일, 냉각수, 부동액과 같이 꼼꼼하게 체크를 하셔야 추운 겨울 시동이 안걸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답니다

예전에는 5,000km마다 엔진오일을 교환하였지만 최근에는 엔진 성능이 뛰어나고 엔진오일 또한 성능이 좋아져서
15,000km, 12개월마다 교환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자동차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운행조건, 기후, 운전자의 주행 습관 등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번 겨울은 날씨가 너무 추워서 한강은 물론 바다까지 꽁꽁 얼어버렸다고 합니다. 이런 날씨에 꼼짝없이 밖에 주차되어 있던 차량을 아침에 출근하려고 자동차 시동을 걸었을 때 간혹 시동이 안 걸리고 말썽이었던 적 있으시죠? 이렇게 겨울철 자동차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 점검해보아야 하는 사항을 카드로 보는 불스원 이슈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날씨가 너무 추워서 밖에 종일 서 있었던 자동차에 타려고 보니 시동이 잘 걸리지 않은 적 누구나 한 번쯤 있으시죠? 이럴 때 자동차에 점검해보아야 하는 점이 있습니다.

겨울철 자동차 시동이 걸리지 않는 이유로 가장 흔한 원인이 바로 배터리 방전입니다. 배터리 방전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배터리 상단에 인디게이터라는 점검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녹색이면 정상, 검은색이면 충전이 부족한 상태, 흰색이면 배터리 교환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추운 날씨 시동 - chuun nalssi sidong

겨울철 자동차 시동이 잘 걸리지 않는 이유는 자동차 내에 생긴 수분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이 수분은 추운 겨울철 외부의 온도 차로 연료탱크 내부에 이슬이 맺혀서 생기거나 그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발생한 연료탱크 내 수분은 기름과 섞이지 않고 계속 남아있게 되기 때문에 차량 연료계통에 손상을 입히게 되고 연료탱크 부식이나 시동 불량 등의 원인으로도 나타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 연료탱크 내에 생기는 수분은 어떻게 제거할 수 있을까요? 바로 이 수분제거제를 통해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수분이 제거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료 라인을 통해 들어간 수분제거제가 연료 내 수분을 순간적으로 분해하여 서로 섞이도록 돕는데요. 이렇게 분해된 수분은 연료에 용해되어 연소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됩니다. 

 

수분제거제는 3,000km~5,000km마다 혹은 계절이 바뀔 때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외부와 내부의 온도 차가 큰 계절 여름과 겨울철에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효과적인 수분 제거를 위해 연료가 50L 미만일 때 주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시동이 잘 걸리지 않는다면 수분제거제를 사용해 보시고, 연료필터와 연료탱크의 수분을 제거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수분을 제거한 뒤 불스원샷을 사용하면 엔진 내부 세정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사실! 추운 겨울, 수분제거제로 차량 내 수분 제거하고 불스원샷으로 엔진 관리해 보세요!


카드로 보는 불스원 지난 이슈 이야기

실내미세먼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 겨울철 세차, 꼭 해야한다면 빠르고 간단하게

불스원샷 대용량으로 대형차 엔진관리 시작!

▶ 자동차 와이퍼 교체시기는 언제 알 수 있나요?

▶ 물 없이 세차가 가능해요?

▶추석 연휴, 장거리 운전에도 역시 불스원샷 

▶불스원샷 효과, 세 배 더 강력해진 엔진 때 세정력을 경험하세요

▶자동차 손세차, 효과적인 셀프세차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휴가철, 장거리 운전할때 허리 보호하는 방법

▶장마철 시야확보를 위한 안전운전 필수품! 

▶황사 미세먼지에 자동차 유리가 위험하다?

▶ 자동차 유막제거 간단하게 이거 하나로 해결?

▶ 셀프유리막코팅없이 봄맞이 셀프세차를 한다고?

▶ 셀프세차 겨울에 어떻게 하지? 걱정 된다면 불스원프라자로

▶ 와이퍼 교체 주기 어떻게 확인하고 계세요?

▶ 수분제거제와 동결방지제는 미리 쓰세요

▶ 불스원 와이드미러는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더욱 필요해요

▶ 불스원프라자는 겨울에도 즐거운 세차가 가능하다

▶ 물 없이 세차가 절실한 추운 겨울

▶ 설연휴 장거리 운전 대비 불스원샷 준비하세요

▶ 설날 연휴맞이 내 차를 위한 세차 설날 선물은 어떠신가요?

 자동차 엔진관리 어떻게 하고 계시나요?

▶ 봄철 자동차관리 셀프교체로 시작해볼까요?

▶ 봄철자동차관리, 황사로부터 손쉽게 공기정화!

▶ 불스원프라자에서 벚꽃여행 가기전 셀프세차로 꽃단장

스프레이 체인 하나면 눈길 운전 걱정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