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망막증 에 좋은 음식 - dangnyomangmagjeung e joh-eun eumsig

  • 당뇨망막증 에 좋은 음식 - dangnyomangmagjeung e joh-eun eumsig

발행일 : 2015-10-16 00:27

당뇨망막증 에 좋은 음식 - dangnyomangmagjeung e joh-eun eumsig
<당뇨망막병증 원인 출처:/tvN 화면 캡쳐>

당뇨망막병증 원인

당뇨망막병증 원인이 네티즌들의 관심을 받는 가운데, 시력에 좋은 음식이 덩달아 눈길을 끌고 있다.

시력에 좋은 음식으로는 열무를 꼽을 수 있다. 열무는 혈압 안정에 좋고 눈을 맑게 하며 기억력 향상에 뛰어난 음식으로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을 듬뿍 갖고 있다.

열무는 잎이 연하고 맛있어서, 뿌리인 무보다 잎을 이용하는 채소로 잎이 열량이 적고 섬유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이며, 비타민 A와 비타민 C가 풍부하다.

게다가 인체에 꼭 필요한 필수 무기질이 알맞게 들어 있으므로 혈액 산성화를 방지하고, 식욕을 증진시키며, 만복감(배가 부른 느낌)을 주는 채소로 알려졌다.

이를 접한 네티즌들은 "당뇨망막병증 원인, 시력에 좋은 음식은 뭘까?" "당뇨망막병증 원인, 눈이 아프다" "당뇨망막병증 원인, 눈이 좋아야 할 텐데" "당뇨망막병증 원인, 원인을 파악해서 막아야지"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당뇨망막병증 원인은 당뇨병이며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가 황반부(망막의 중심에 있는 시력의 중심부로서 대부분의 시세포가 밀집되어 있으며 시력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의 침범이 일어나면서 시력 저하가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이 기자

당뇨망막증 에 좋은 음식 - dangnyomangmagjeung e joh-eun eumsig
픽사베이

매년 11월 14일은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당뇨연맹(IDF)이 제정한 ‘세계 당뇨병의 날’이다. 당뇨병은 현대인의 만성질환으로 분류되는데 국내 30세 이상 성인 남녀 중 1/8이 당뇨병을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병이다. 당뇨병은 신체 내에서 혈당 조절을 하는 인슐린의 분비에 문제가 생겨 혈당이 높아지는 대사성 질환으로 각종 고위험군 합병증을 유발하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혈당에 이상이 생기는 당뇨병은 신체 곳곳을 비롯해 눈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 중 하나로, 최대 실명까지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당뇨망막병증은 초기에 발견이 어려운 병으로, 어느정도 진행된 뒤에는 손상된 시력을 완전히 회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당뇨망막병증을 비롯한 각종 합병증을 겪지 않으려면 평소 생활 습관을 개선함으로써 당뇨병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그렇다면 당뇨병을 발병시키는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우선일 터. 당뇨병의 첫 번째 원인은 유전적 요인이다. 부모 한 명이 당뇨 환자일 경우 자녀가 당뇨에 걸릴 확률은 20~30%에 달한다. 따라서 부모 중에 당뇨병을 앓는 사람이 있다면 더욱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둘째는 불규칙한 생활 습관과 영양소의 불균형이다. 달콤한 음식이나 고칼로리의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서 운동량이 적으면 비만에 걸리고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당뇨병에 걸리지 않도록 관리하려면 '높은 혈당 지수(GI)' 식품의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 당뇨병에 치명적인 식품, 좋은 식품은? 

고 혈당 지수에 해당하는 식품으로는 밀가루 빵, 흰 쌀밥, 파스타, 감자, 호박, 팝콘, 파인애플 등이 있다. 또 포화지방 및 트랜스지방을 다량 함유한 식품이나 정제당, 짠 음식과 술 역시 당뇨 환자에 치명적이다. 당뇨를 예방하려면 밀가루빵 보다는 통밀빵을 섭취하고, 육가공식품은 물에 한번 데쳐 채소와 섭취하는 것이 좋다. 과일주스는 과일을 가는 과정에서 영양소가 파괴되고 당류만 남아 있기 때문에 되도록 생과일을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

반면 당뇨에 좋은 대표적인 음식은 양파다. 양파에 함유된 ‘크롬’ 성분은 혈당을 낮추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당뇨 예방에 도움을 준다. 양파의 크롬 성분은 양파를 잘게 잘랐을 때 가장 흡수율이 높으며, 열에도 강하다. 채 썬 후 15분 정도가 됐을 때 살짝 데치거나 익혀 먹는 것이 양파의 유익한 항산화 성분과 크롬 성분을 섭취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تعذّرت معالجة طلبك

حدثت مشكلة في هذا الطلب. وإننا نعمل علي إصلاحها بأسرع ما يمكن.

  • عودة إلى الصفحة الرئيسية

  • العربية
  • 中文(简体)
  • English (US)
  • 日本語
  • 한국어
  • Français (France)
  • Bahasa Indonesia
  • Polski
  • Español
  • Português (Brasil)
  • Deutsch

  • إنشاء حساب في فيسبوك
  • تسجيل الدخول
  • Messenger
  • Facebook Lite
  • Watch
  • الأماكن
  • الألعاب
  • Marketplace
  • Meta Pay
  • Oculus
  • Portal
  • Instagram
  • Bulletin
  • حملات جمع التبرعات
  • الخدمات
  • مركز معلومات التصويت
  • المجموعات
  • حول
  • إنشاء إعلان
  • إنشاء صفحة
  • المطوّرون
  • الوظائف
  • سياسة الخصوصية
  • مركز الخصوصية
  • ملفات تعريف الارتباط
  • اختيارات الإعلانات
  • الشروط
  • مساعدة
  • تحميل جهات الاتصال والإشعار غير المتعلق بالمستخدمين
  • الإعدادات
  • سجل النشاطات

Meta © 2022

당뇨병은 평소 생활할 때는 크게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지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심장마비나 뇌졸중, 신부전, 망막증 등 여러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질병이다. 김지영 약사는 “당뇨병은 증상이 없더라도 관리를 잘해야 하는데, 관리의 가장 기본은 혈당을 조절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정상 혈당을 유지하면 당뇨병을 앓고 있더라도 대부분의 활동에 제약이 없으므로 꾸준한 관리를 당부하며, 당뇨 관리에 좋은 음식을 추천했다.

당뇨 관리에 효과적인 음식은?
정상인과 당뇨병 환자의 차이점은 혈당 상승에 있다. 식사 후 정상인은 혈당이 조금 올라가지만, 당뇨병 환자는 급격하게 상승한다. 따라서 배불리 먹어도 혈당을 적게 올리는 음식을 먹어야 당뇨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 식이섬유는 포만감이 오래 가기도 하고, 위장관 내에서 포도당의 흡수를 지연시켜 혈당을 천천히 오르게 해 인슐린 분비가 한꺼번에 되지 않도록 도와준다. 식이섬유는 보통 채소에 많이 들어있는데, 그중에서도 전분이 적은 오이나 상추, 배추,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브로콜리 등을 많이 먹는 것을 추천한다. 식사 전에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면 포만감이 생겨 식사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탄수화물을 먹더라도 혈당이 천천히 올라간다.

당뇨망막증 에 좋은 음식 - dangnyomangmagjeung e joh-eun eumsig
브로콜리, 콩, 두부, 버섯 등은 혈당에 효과적인 음식들이다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 중년이 되면 근 손실이 쉽게 일어나는데, 단백질을 적정량 섭취하고 운동을 통해 근력을 늘려야 당분 소비량을 늘릴 수 있다. 좋은 단백질 섭취원으로는 닭고기, 오리고기, 두부, 조개, 생선, 치즈 등이 있다. 또한 볶은 콩 역시 질 좋은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어 근 손실을 방지하고 포만감을 준다. 버섯 역시 식단에 추가하면 좋은데, 단백질이 풍부하고 버섯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물질인 베타글루칸(Beta-Glucan)이 많아 면역력을 높여주면서 콜레스테롤은 낮춰준다. 특히 당뇨병 환자는 갓이 작은 버섯을 섭취하면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된다.

혈당을 적게 올리는 탄수화물 음식= 탄수화물을 먹을 때는 혈당지수인 GI 지수를 확인하고 먹는 것이 좋다. GI 지수란, 음식물 섭취 후 영양소가 포도당으로 변하는 시간을 고려해 산출한 값으로, 포도당 100g을 100으로 두고, 각각의 음식을 100g 섭취할 때마다 혈당이 상승하는 비율의 값을 매긴 것이다. 같은 양의 탄수화물을 섭취하더라도 서로 다른 속도로 소화 및 흡수가 되기 때문인 체내에서 혈당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곡류의 경우 도정을 하지 않을수록 혈당지수가 낮으므로 쌀밥보다는 현미, 잡곡밥 위주로 식사하는 것이 좋고, 밥을 지을 때 귀리나 녹두를 섞는 것을 추천한다. 설탕과 같은 단순당은 농축된 열량원이기 때문에 소화가 빨라 혈당 상승을 촉진하므로 피하도록 한다. 김지영 약사는 “단맛이 필요하면 식약처가 승인한 대체감미료인 에리스톨, 스테비아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라고 설명한다. 또한 설탕 대신 계핏가루를 사용하면 계피 특유의 향으로 음식에 풍미를 줄 수 있고, 인슐린 민감도를 높여주어 포도당 생성 감소에 도움을 준다.

당뇨병 환자의 식사요법은 단순히 어떤 음식을 줄이거나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식사를 계획하고 실천해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김지영 약사는 “당뇨병은 완치가 힘든 만성질환이기 때문에 지속해서 관리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우울감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감정을 잘 돌보지 않으면 모든 생활에 의욕이 낮아질 수 있다”라고 당부하며, “혈당 관리에 효과적인 음식으로 건강하고 맛있는 식단을 구성해보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도움말 = 김지영 약사

<저작권©언론사 하이닥,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