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를 이루는 기체 종류 - gong-gileul iluneun giche jonglyu

공기를 이루는 기체 종류 - gong-gileul iluneun giche jonglyu

지구 대기의 꼭대기층을 통해 본 초승달(국제 우주 정거장, ISS)의 엑스퍼디션13(Expedition 13) 순회 승무원이 마카오 바로 남쪽에 있는 남중국해(21.5°N, 113.3°E 지점) 상공에서 촬영했다.(NASA 이미지 ID: ISS013-E-54329)

공기(空氣)는 지구를 둘러싼 기체를 말한다. 해수면의 건조한 공기는 대략 78%의 질소, 21%의 산소, 0.93%의 아르곤, 그리고 이산화 탄소, 수증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기는 우리 지구를 감싸고 있는 기체이다.

역사[편집]

고대 [그리스]나 중세 유럽의 4대원소에서 공기는 네 개의 원소 중 하나였다. 근대적인 원소의 개념이 정립된 이후도 공기는 일정 기간 원소 중의 하나로 여겨졌다. 공기와는 성질이 다른 다양한 기체가 발견되었지만, 그것들은 공기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이라고 생각되었다. 18세기에 와서 앙투안 라부아지에는 공기가 산소와 질소의 혼합물인 것을 알아냈고, 그 후에 공기를 원소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없어지게 되었다.

이용[편집]

산업용으로 압축 공기는 다양한 곳에서 사용된다. 압축 공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공압 기계라고 하지만, 압축기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용하는 등 몇 가지 방식이 있다. 또한 순수한 공기의 이용은 봄베 등으로 충전한 압축 공기, 저온에서 액화시킨 액체 공기도 제조된다. 상압에서 약 -190 ℃에서 액화, 액체 산소의 영향에서 액체 공기는 옅은 푸른빛을 띠고 있다. 가스 실린더에 충전하는 공기는 일반적으로 수증기나 미립자 성분을 제거한 건조한 공기이다. 스쿠버 다이빙에 사용되는 탱크에 압축 공기가 충전되어 있으며, 50m 정도까지 잠수하는 경우 질소 멀미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 성분을 헬륨으로 바꾼 공기를 이용한다. 또한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외에도, 크립톤, 제논, 네온 등의 대기 중에 포함된 성분은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 압축, 화학 흡착, 막 분리 등의 방법으로 산업용 제조된다.

화학 데이터[편집]

속성[편집]

밀도(0℃ 1atm) 1.293 kg/m3
평균분자량 28.966 g/mol。
팽창율(100℃ 1atm) 0.003671 /K

t[℃]에 있어서의 공기의 밀도ρ[kg/m3]는 대기압을 P[atm]로 하면 로 나타낼 수 있다.

성분[편집]

공기를 이루는 기체 종류 - gong-gileul iluneun giche jonglyu

건조대기 조성을 나타내는 파이 그래프, 아래의 원은 잔존 기체의 성분

지구 대기의 성분으로 가장 변동이 심한 것은 수증기이고, 그것을 제외한 건조 공기의 성분은 장소, 계절, 시각으로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다만, (*)를 붙인 성분은 생물, 산업 활동, 광화학에 의한 합성, 분해에 의해 다소 변동된다.

표1: 건조공기의 주요성분
성분화학식체적비
/%
중량비
/%
질소 N2 78.084 75.51
산소 O2 20.946 23.01
아르곤 Ar 00.934 01.286
이산화탄소 CO2 00.036 00.040*
표2: 공기의 미량 성분
성분화학식체적비
/ppm
네온 Ne 18.18
헬륨 He 5.24
메탄 CH4 1.60*
크립톤 Kr 1.14
수소 H2 0.50
일산화이질소 N2O 0.3*
일산화탄소 CO 0.1*
제논 Xe 0.087
오존 O3 0.03*
이산화질소 NO2 0.02*
암모니아 NH3 0.01*
이산화 유황 SO2 0.0019999999

같이 보기[편집]

  • 지구 대기권
  • 해수

외부 링크[편집]

  • NASA 대기 모델
  • NASA'의 지구 팩트 정보
  • American Geophysical Union: 대기 과학
  • Outreach of the GEOmon project See how Earth atmosphere is observed and monitored by a European project that combines many approaches.
  • 공기 속의 물질 대기 속에는 뭐가 있을까?
  • 공기의 층 Archived 2005년 12월 19일 - 웨이백 머신
  • Answers to several questions of curious kids related to Air and Atmosphere Archived 2013년 5월 15일 - 웨이백 머신
  • The AMS Glossary of Meteorology
  • Paul Crutzen Interview Free video of Paul Crutzen Nobel Laureate for his work on decomposition of ozone talking to Harry Kroto Nobel Laureate by the Vega Science Trust.

[과학 6-1] 3. 여러 가지 기체 - 공기를 이루는 여러 가지 기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공기를 이루는 기체 종류 - gong-gileul iluneun giche jonglyu
푸른햇귀2020. 5. 11. 12:58

6학년 1학기

과학

3단원 여러 가지 기체

공기를 이루는 여러 가지 기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과학 62~63쪽)

1. 공기

1) 공기는 여러 가지 기체로 구성된 혼합물입니다.

2) 공기는 질소와 산소가 대부분이며, 공기에는 이 밖에도 여러 가지 기체가 섞여 있습니다.

(실험관찰 28쪽)

조사활동> 공기를 이루는 기체를 알아보고, 그 기체의 쓰임새 조사하기

1] 공기를 이루는 기체와 그 기체를 생활 속에서 어떻게 이용하는지 조사해 봅시다.

(예시)

* 공기를 이루는 기체와 그 쓰임새

(1) 산소: 호흡 장치에 이용

(2) 이산화 탄소: 탄산음료를 만드는 데 이용

(3) 질소: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데 이용

(4) 수소: 수소 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드는 데 이용

(5) 네온: 조명 기구에 이용

(6) 헬륨: 풍선이나 비행선을 띄우는 데 이용

생각해 볼까요?

* 과자 봉지를 질소 대신 산소로 채우면 어떻게 될까요?

: 산소가 과자 봉지 속의 내용물로 변하게 될 것이다.

산소는 숨을 쉴 때 필요한 기체이므로 과자 봉지 속에서 벌레가 살 수 있을 것이다.

공기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공기는 동물의 호흡과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합니다. 그리고 소리와 열 전달하며, 공기의 이용에 따라 바람이 붑니다. 공기는 약 78%가 질소이고 21%가 산소 그리고 약간의 이르곤,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구에는 공기가 있나요?

지구 대기는 지상으로부터 약 30km 정도 이내에 공기의 99% 존재하고 있다. 전 우주로 볼 때 아주 얇은 담요 불과하다. 지구 대기는 질소, 산소, 아르곤, 이산화탄소 주를 이룬다. 이밖에도 수증기, 탄산가스(이산화탄소), 네온, 헬륨, 수소, 메탄, 오존 등도 미량 섞여있다.

산소는 어떻게 생겼나요?

아주 먼 옛날 지구 탄산가스만이 꽉차있는 행성이었으며 온실효과로 기온은 대단히 높았다. 기온이 높고 탄산가스가 풍부하니까 식물은 놀랄만한 속도로 번식하여 전 지구를 덮었다.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탄소동화작용을 거쳐 산소를 만든다.

공기를 이루는 기체와 그 기체를 생활 속에서 어떻게 이용하는지?

잠수부의 압축 공기통, 응급 환자나 우주 비행사의 호흡 장치 등에 산소를 이용합니다. 이산화 탄소는 소화기, 드라이아이스, 탄산음료의 재료, 자동 팽창식 구명조 끼 등에 이용합니다. 수소 발전소에서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 만듭니다. 수소 자동차, 수소 자전거 등에 수소 를 이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