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피검사 수치표 - imsin pigeomsa suchipyo

임신 피검사 수치표 - imsin pigeomsa suchipyo

주수에 따른 평균 피검 수치

가장 정확하게 임신을 확인할 수 있어 임신 수치라고도 부르는 피검 수치.

임신 테스트기도 소변에 있는 hCG에 반응하는 원리이고,

병원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피검사로 hCG 수치를 측정, 임신 여부를 판단한다.

수치가 어느 정도 되면 임신이다,라는 정확한 수치는 없지만

임신이라면 48시간에 1.66배씩 뛰어야 정상이다.

hCG 수치가 1,800 이상이어야 아기집이 보인다고 하니 표에 의하면 4주 4일은 되어야 하는 셈이다.

좀 더 상세하게 피검 수치에 따른 처방을 알려주는 난임병원도 있다.

1.5이하

임신에 실패하였으므로 2~3개월 휴식 후 재도전 하십시오.

생리가 시작되면 담당 선생님과 상담 후 병원에 오십시오.

10이하

거의 임신에 실패하였으나 아주 드물게 피검사 수치가 올라가는 경우가 있으므로

14주일 후에도 생리가 나오지 않으면 재검사하십시오.

10~100이하

임신하셨으나 유산의 가능성이 있고 배아가 약하므로 의사의 처방을 받으세요.

100이상

임신이 되었으며 프로게스테론 주사를 계속 맞으면서 1주일 후에 재검사하십시오.

내 경우에는 첫 인공수정 이후 첫 번째 피검 수치가 23이라서 매우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했다....

임신이라고 하기엔 매우 애매하고 희박하지만... 혹시 모르니 2차 피검을 기다려보세요,

이런 식의 말씀을 하셔서 안절부절 하루하루를 보냈다.

조금이라도 나왔으니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절박하게 매달렸지만,

결국 사흘 사이에 결국 생리가 시작되었고 2차 피검을 갈 필요도 없이 끝이 났다.

그때 차라리 이런 표처럼 안내해 주었다면 좀 더 현실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지 않았을까...

임신 피검사 수치표 - imsin pigeomsa suchipyo

임테기 붉은 선의 진하기로 얼추 임신 주수도 가늠은 하지만... hCG수취도 보여졌음 좋겠다.ㅎ

나의 경우

네이버 기준 4주 4일째 임테기2줄보고

5주 0일 때 병원 가서 초음파를 보는데 아직 아기집이 안 보인다고....

그날 피검을 하고 마음 졸이며 기다렸는데,

오후에 온 전화로는 피검 결과가 800이어서 일단 임신은 맞지만 더 기다려보라고 했다.

결국 주말 때문에 3일 뒤에 다시 가니.... 그때야 초음파로 태낭 확인!

이 경우를 위 표로 다시 검산해보면,

네이버로는 5주 0일에 피검 800은 이 표로는 4주 3일 수준이니 4일 느리고

네이버 출산 예정일이 10월 26일로 봤는데 병원에서는 10월 31일로 판정해주셨으니

5일 미뤄진 것이 얼추 맞는 셈이다.

임신 주수는 마지막 생리일을 기준으로 하는데

개인마다 배란주기가 다르다고 해서 배란일로 계산하여 표를 재해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나도 주기가 정확한 편인데 네이버에 입력했을 때 나온 출산 예정일과 병원에서 판정한 예정일이 다른 것을 보면 착상이 늦어지거나 난황 성장이 느린 경우 등 여러 변수가 많을 것.

이 표는 일단 피검사를 하여 임신 추정 가능 수치 이상이 나왔을 때

얼마나 정상적으로 수치가 늘고 있는지를 비교하여

초음파에 아기집이 보일 때까지 가늠해보는 용도로 쓰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임신 피검사 수치표 - imsin pigeomsa suchipyo

임신테스트기를 쓰고...결과가 뜨기까지 조마조마한 순간!

1. 임신 진단의 기준이 되는 소변 내 hCG 농도 25mlU/ml 이상에서 테스트 선이 적자색이 표시된다.

임신 초기에는 체내 hCG 농도가 25mlU/ml 이상이나 그 농도가 낮아 적자색이 엷게 표시되나,

임신 주수가 증가할수록 소변으로 검출되는 hCG 농도가 증가하여 적자색이 점점 짙게 표시된다.

2. hCG(Human Chorionic Gonadotropin)는 임신 중 태반을 구성하는 세포에서 생성된다.

이 세포는 수정된 난자가 자궁벽에 착상된 후, 난자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3. 정자와 수정된 난자(수정란)는 보통 배란 후, 6~12일 후에 자궁벽에 착상을 하게 된다.

착상 11일 후부터는 hCG가 피검사로 검출되고,

착상 12~14일 후부터는 소변검사로 검출된다.

4. hCG 농도는 일반적으로 이틀에 1.66배씩 증가하며,

임신 8~11주에 최고점에 도달하고, 이후 임신 16주까지 점차 감소하게 되며,

이후에는 일정한 농도를 유지한다.

5. hCG 농도가 1,000~2,000mlU/ml에 도달했을 때 초음파로 아기집을 볼 수 있으나,

개인마다 hCG 농도가 다르고, 임신일 계산이 잘못되었을 수도 있으므로,

hCG 농도가 최소 2,000mlU/ml에 도달하였을 때에 초음파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6. 한 번의 hCG 검사로 임신 진단을 하는 것은 부정확할 수 있으니

2일 이상 hCG 검사를 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다.

여성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자연 소실되는 임신 초기 유산 시에도 hCG가 검출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생리 예정일 이후에 다시 한 번 테스트를 하는 것이 좋다.

7. 유산, 착상된 수정란이 배아로 발달하지 못한 경우,

자궁 외 임신 등의 경우, 임신 주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hCG 농도가 낮다.

자궁 외 임신인 경우, 정상 임신일 때에 분비되는 hCG 분비량보다 1/5~1/15배 낮게 분비된다.

8. 포상기태, 다태임신(쌍둥이) 등의 경우, 체내의 hCG 농도가 높을 수 있다.

9. 유산 후 보통 4~6주 이내에 비임신 시의 농도까지 hCG 농도가 낮아진다.

유산할 당시의 hCG 농도에 따라 그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임신을 준비하거나 확인하게 되면

산모의 건강을 점검하기 위한 산전검사를 하게 된다.

보통 산부인과에서 임산을 확인하고 채혈하고 시행하게 되는데

간기능, 당뇨, 빈혈 등 임신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도 건강을 위해 미리 관리하는 것이 좋다.

특히, 풍진의 경우 임신 중 감염 시 태아의 선천성 기형을 유발하는데

풍진 예방접종 후 3개월간 피임을 해야 한다하니

임신 확인 후에야 풍진 항체가 없는 것을 알고 전전긍긍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임신 준비 전 확인이 꼭 필요하다.

혹시 최근 직장이나 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하여주는

건강검진 결과표를 받아본 적이 있다면

AST, ALT, Rubella lgG 등 혈액검사 수치를 읽는 법을 확인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미리 상담을 받아 정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점검해 보는 것이 좋다.

임신 피검사 수치표 - imsin pigeomsa suchip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