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여자 한복 설명 - joseonsidae yeoja hanbog seolmyeong

추천자료

  •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
  • [한국풍속사] 조선시대 복식문화 정리
  • [민속학] 한복의 민속학적 분석
  • [역사학] 조선시대 생활사를 읽고
  • [한복기능사, 한복] 한복의 종류, 한복의 기본색깔, 한복의 입는 방법, 한복의 보관과 관리 및 한복기능사의 특성, 한복기능사의 자격요건, 한복기능사의 고용현황 분석
  • [의복의 역사] 조선시대 의복 - 조선시대 복식의 특징, 개짐, 서민들의 의복, 기녀들의 의복, 속옷, 장신구
  • 한국복식문화3공통) 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0K
  • 한국복식문화3공통) 고대부터 개화기까지 한국 남성들의 머리모양과 관모 문화에 대해 설명하시오0K
  • [조선의복] 조선시대 복식사
  • 개화기의 복식 변화와 특징
  • 소개글 조선시대 복식문화 정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조선시대의 복식문화

    특징
    Ⅰ.왕실의 복식문화
    남자
    1. 제복
    -면류관
    -곤복
    2. 조복
    -원유관
    -강사포
    3. 상복
    -익선관
    -곤룡포
    4. 편복
    5. 왕세자복
    여자
    1. 적의
    2. 원삼
    3. 활옷
    4. 당의
    5. 왕비의 평상복
    Ⅱ.양반 사대부가의 복식문화
    1. 사회·문화적 배경
    2. 남자 복식
    ①백관복
    ② 양반복
    3. 여자 복식
    ①저고리
    ②치마
    ③속옷
    ④ 머리모양
    ⑤ 수식
    Ⅲ. 서민들의 복식문화 (+특수계층의 복식문화)
    1. 조선시대 상민 남자 복식
    1) 모자
    2) 상민들의 바지, 잠방이
    3) 가장 대중적인 신발, 짚신
    4)삼베옷
    2. 조선시대 상민 여자 복식
    1) 조선시대 일반 상민 여성의 복식
    2) 조선시대 특수계층 여성의 복식

    본문내용 조선시대의 복식문화

    특징
    ․개국 초기에는 고려의 복식제도를 그대로 본받았음.
    ․전기에는 명복식의 영향을 받았고, 중후기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치르는 동안 청의 영향을 받음.
    ․조선시대에는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의례복과 평상복, 남녀, 상하존비를 가르기 위한 복식제도가 엄격했음.(직물의 색깔, 종류, 문양 등에 한층 심한 규제를 받음)
    ․한복의 기본형은 소매가 직선형이며 앞에 트임이 있고 옷 전체가 평면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 그 특징임

    Ⅰ.왕실의 복식문화

    남자
    1. 제복
    면복 : 제사지낼 때와 대례복으로 착용하는 군왕의 표신으로 삼던 옷.
    9류 면류관과 9장문의 곤복으로 구성.

    -면류관
    ․예모 가운데 가장 존엄한 것으로서 겉은 검고 속은 붉음.
    ․모자의 뒤쪽은 올라가고 앞쪽은 내려왔으며, 뒷부분은 모지고 앞부분은 둥그스름하며, 앞뒤에 옥구슬(유)을 달았음
    ․금잠도(금비녀)를 꽂았음.

    -곤복
    ․중국 황제는 십이류면 십이장복, 조선의 국왕은 중국의 친왕례에 따라 구류면 구장복을 착용하다가 국말 고종이 황제위에 오르면서 십이류면 십이장복을 착용하게 되었음.
    ․곤복에는 장문이 가장 중요한 요건: 산, 용, 화충, 화, 종이(종묘제기), 조(물속에서 자라는 마름 풀), 분미(쌀) ,보(도끼) ,불의 구장에 황제를 표시하는 일, 월, 성신.
    ․곤복의 구성: 의, 상, 중단, 폐슬, 혁대, 대대, 패옥, 수, 말(버선), 석(신발), 규.
    ․의: 검은색이며, 등 뒤에는 산, 양어깨에 용, 소매 뒤쪽에는 화(火), 꿩, 종묘제기의 오장문 이 있음.
    ․상: 붉은색으로 앞 3폭, 뒤4폭으로 구성, 조, 쌀, 도끼, 亞자의 사장문을 수놓았음.

    2. 조복
    ․삭망(초하루와 보름), 조강(강연관이 임금에게 학문을 강연하는 것), 조현(신하가 조정에 들어가 임금을 배알함) 등에 착용.
    -원유관: 검정색 비단으로 만들고, 앞 뒤 각각 9량에 금잠을 꽂았고, 오색의 옥으로 장식함
    -강사포: 붉은색 비단으로 만들었고, 깃과 도련에 붉은색의 선을 둘렀음.

    3. 상복
    ․국왕의 평상시에 입는 시무복이며, 익선관과 곤룡포로 구성되었음.
    -익선관: 관의 모양이 2단으로 턱이 지고 앞은 낮고 뒤는 높았으며, 뒤에는 매미 날개 모양의 작은 뿔 2개가 위쪽을 향해 달려 있음.
    -곤룡포: 용포 또는 망포라고 하는데 다홍색으로 포의 앞뒤와 양어깨에 금색 오조원룡보를 첨부하였음.
    *보: 둥근 천에 용을 수놓아 왕족의 예복에 붙이는 것으로, 용의 발톱 수에 따라 5조룡, 4 조룡, 3조룡 등으로 차이를 두어 신분관계를 나타냄.

    4. 편복
    -우리 고유의 저고리, 바지 위에 답호(관복 위에 있는 소매없는 옷)와 첩리(무관이 입던 공복) 등을 착용하였음.

    5. 왕세자복
    -면복은 8류면 7장복이며, 공복은 복두에 홍포로 되어있고, 상복은 익선관에 4조룡의 곤룡포였다. 왕세손은 3조원룡보를 사용하였음.

    여자
    1. 적의
    ․비빈의 대례복 국가의 중대한 의식 때 입는 예복.
    이다.
    -형태: 앞면의 좌우가 여며지지 않고 그대로 내려가며, 앞길이보다 뒷길이가 더 길고, 앞가 슴과 뒤에 오조원룡보를 붙였음.
    -왕비의 적의 색은 붉은색, 왕세자빈과 왕세손비는 푸른색 적의를 착용했음.
    -황후의 적의에는 150~160쌍의 꿩무늬와 그 사이사이에 작고 둥

    #조선시대#복식#조선#저고리#시대#치마#복식문화#상민#머리#여자

    조선시대의 복식 - 남자한복 / 여자한복

    조선시대의 복식형태는 임진왜란을 계기로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는데, 전.후반으로 양분됩니다.

    특히 후기에는 남녀복 편복(便服)에 있어 겉옷과 속옷이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됩니다.

    1.남자복식

    그 어느때 보다 신분제도가 엄격했던 조선시대는

    복식의 제도 또한 엄격했고 왕족과 양반, 중인, 상민, 천민으로 5분 되었습니다.

    이 처럼 신분제도가 엄격한 사회는 복식의 계층분화를 더욱 강화하였고,

    법규범으로 제도화 하며, 하층신분의 도전은 사치금지령으로 제지 하였다고 해요.

    이러한 엄격한 신분제도는 복식에도 계층분화를 가져왔

    으며 강렬했던 양반의식과 왕조적인 상하질서 의식은 더 엄격하게 하였습니다.

    이에 남자복식을 계급에 따라 왕복과 백관복, 양반복, 일반복으로 나뉘어집니다.

    1)왕복(王服)

    왕복에는 대례(大禮), 제복(祭服)에 착용하는 면류관(冕旒冠),곤복(袞服).

    조복(朝服)으로는 원유관(遠遊冠)  강사포(絳紗袍)

    상복(常服)으로는 익선관(翼善冠)곤룡포(袞龍袍)등이 있습니다.

    이밖에도 국난을 당했을때 전립(戰笠)에 융복(戎服)을 착용하고 평상시에는 편복(便服)을 입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여자 한복 설명 - joseonsidae yeoja hanbog seolmyeong

    면류관(좌)과 면복(우)

    (사진출처-네이버 지식백과)

    2)백관복(百官服)

    백관복에는 조복, 제복,공복,상복이 있습니다.

    비상시에는 몸을 가볍고 민첩하게 하기 위한 융복(戎服)이 있었으며

    무관(武官)에게는 따로 전복(戰服)과 구군복(具軍服)이 있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여자 한복 설명 - joseonsidae yeoja hanbog seolmyeong

    금관조복​ (사진출처-네이버 지식백과)

    3)양반복(士人服)

    사인복이란 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의 복식을 말하는것으로 조선시대 많은 양반계층을 의미합니다.

    조선시대 생원, 학생, 사인등 유생들이 착용한 의복으로 시대에따라 명칭이 다르게 붙여졌으나

    형태는 서로 비슷하여 옥색의 포를 입으며 띠를 매고 건을 썼습니다.

    조선시대 여자 한복 설명 - joseonsidae yeoja hanbog seolmyeong

    심의 (사진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4)서민복

    서민남자들이 착용하였던 복식으로 예로부터 입어내려오던 우리나라 고유복식으로 그 기본구조가 되는

    저고리, 바지 뿐이었으며  여러가지 복식금제로 인해 직물과 문양, 색등에 제한이 있어 가장기본이 되는 흰색의

    아무 무늬도 없는 면직물로 만든 복식이 기본이었습니다.

    -----------------------------------------------------------------------------------------------------------------------------------------

    2. 여자복식

    조선시대 여자복식은 남자복식에 비해 많은 변천을 겪지 않았습니다.

    왕비복의 경우 조선왕조 초 명나라에서 보내준 관복을 그대로 받아들여 사용하였고,

    일반여자 복식의 경우도 저고리나 치마는 그 길이나 선이

    조금씩 변하기는 하였으나 기본적인 구조는 초기의 국속을 벗어나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1)궁중복식

    여자예복은 궁중을 중심으로 하여 생겨났고 이것이 외명부(外命婦)에게 적용이 되었고,

    다시 사대부가 전파되어 유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조선왕조 여인의 예복으로는 중국에서 다양하게 많은것이 들어와 사용 되었으며

    대표적으로는 적의, 노의, 장삼, 원삼, 활옷, 당의 등을 들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여자 한복 설명 - joseonsidae yeoja hanbog seolmyeong

    적의 (사진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시대 여자 한복 설명 - joseonsidae yeoja hanbog seolmyeong

    원삼(사진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시대 여자 한복 설명 - joseonsidae yeoja hanbog seolmyeong

    당의 (사진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2)일반복식

    여기서 일반복식이란 궁중에서 입는 예복이나 특수한 옷이 아닌 일반적으로 입혀지는 저고리, 치마, 바지와 속옷등을 말합니다.

    조선시대 여자 한복 설명 - joseonsidae yeoja hanbog seolmyeong

    조선후기 저고리 (사진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3)서민복식

    서민여자들은 두루마기를 입을수 없었으며 쓰개는 장옷과 천의만을 사용할수있었고

    저고리, 적삼, 바지, 속곳, 고쟁이, 짚신등을 착용하였습니다.

    또한 삼회장 저고리는 입지 못하였으며 치마도 오른쪽으로 여며 입어 양반과 구별을 하였습니다.

    특히 천한 계층의 사람들은 '거들치마'라고 하여 치맛자락을 바짝 치켜 여며 입어 속옷이 밖으로 드러나 보이게 함으로써

    그 신분을 표시하게 하였으며

    또한 그들은 폭도 좁고 길이도 짧은 '두루치'를 흔히 입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여자 한복 설명 - joseonsidae yeoja hanbog seolmyeong

    거들치마 - 신윤복 풍속화

    (사진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4)여인의 머리모양과 수식

    머리모양 - 조선시대에 가체로 구성되는 머리의 종류에는

    큰머리, 어여머리, 앉은머리, 첩지머리, 조짐머리, 새앙머리, 쪽진머리등이 있고

    사회계층에 따라 달랐습니다.

    수식 - 조선시대 여인들이 몸을 단장하고 입는옷의 맵시를 더 한층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꾸민 수식에는 여라가지가 있습니다.

    비녀와 뒤꽂이, 첩지, 떨잠, 댕기등이 이에 속합니다.

    쓰개 - 쓰개의 종류에는 예의를 갖추기 위한 예장용인 적관(翟冠)과 화관(花冠), 족두리(足頭里)가 있으며

    방한용인 난모류에는 아얌, 조바위, 풍차, 만선두리, 남바위, 볼끼, 굴레 등이 있습니다.

    외출용에는 너울, 쓰개치마, 장의, 산갓, 차액, 전모등이 있습니다.

    조선시대 여자 한복 설명 - joseonsidae yeoja hanbog seolmyeong

    조선시대 여인의 머리모양 (사진출처 - 한국복식사)

    5)여인의 몸치레

    조선시대 여인들의 몸을 장식하고 꾸미는것으로는 노리개, 귀고리, 반지, 주머니, 단추등이 있습니다.

    장신구란 넓게 보면 머리에 쓰는 관모, 귀에 거는 귀고리, 목과 가슴까지 늘어뜨리는 목걸이,

    팔목에 끼는 팔찌와 손가락에 끼는 가락지, 허리에 두르는 허리띠와

    늘어뜨리는 요패, 그리고 발에 신는 신등을 말합니다.

    조선시대 여자 한복 설명 - joseonsidae yeoja hanbog seolmyeong

         http://www.minsinhong.co.kr

    조선시대 몇세기?

    조선국 (1876년 이전) 대조선국 (1876년 이후)
    상단: 왕실 국기 (1882년 ~ 1897년) 하단: 국기 (1893년 ~ 1897년) 왕실 문장 국장 (19세기 후반)
    수도
    한성부 북위 37° 35′ 동경 127° 0′
    정치
    정치체제
    전제군주제
    조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ko.wikipedia.org › wiki › 조선null

    한복은 뭘로 만드나요?

    한복의 소재는 일반적으로 대마 직물인 베, 저마직물인 모시, 면직물인 무명 및 견직물인 명주와 각종 주(紬), 사(紗), 라(羅), 능(綾), 금(錦), 단(緞) 등을 사용한다. 직물 같은 섬유로 짠 것이라도 그 직조 상태에 따라서 재질에 차이가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