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평균 소득 - migug pyeong-gyun sodeug

NYT, 2020 센서스 결과 분석…한인 절반 이상 주택 보유

미국 평균 소득 - migug pyeong-gyun sodeug

‘증오범죄 규탄’ 미 LA 집회에 참석한 아시아계 여성들 (로스앤젤레스 EPA=연합뉴스) 지난 3월 27일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린 증오범죄 규탄 집회에 참석한 아시아계 여성들이 ‘아시아인에 대한 증오를 멈춰라’고 쓰인 피켓 등을 들고 있다. 

지난 30년간 미국 내 아시아 출신 인구가 3배 증가하면서 20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인은 약 150만명이 미국에 거주하며, 가구 중위소득은 7만4323달러(약 88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타임스(NYT)는 21일 2020 센서스 통계를 토대로 미국 내 아시아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는 곳 역시 지리적으로 다양화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평균 소득 - migug pyeong-gyun sodeug

미국 평균 소득 - migug pyeong-gyun sodeug

미국 평균 소득 - migug pyeong-gyun sodeug

아울러 30년 전에는 미국 해안가 도시의 일부 지역에 아시아 인구가 몰려있었다면, 지금은 남부 교외와 중서부 시골 지역까지 다양한 곳에 퍼져있다고 설명했다.

전체 인구에서 아시아 출신이 5% 이상인 카운티는 1990년 39곳에서 2020년 176곳으로 늘어났다.

아시아계 혼혈 인구는 350만명 정도로 집계됐다.

미국 내 아시아인을 출신별로 보면 중국계가 410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인도(400만명), 필리핀(290만명), 베트남(180만명), 한국(150만명), 일본(77만명) 등의 순이었다.

아시아인 상당수는 미국에서 태어났거나 귀화하면서 시민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계 가구의 소득이나 교육 수준은 미국 전체 인구의 평균에 비해 높았지만, 출신국가 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중위소득이 가장 높은 아시아인은 인도계로, 미국 전체가구의 중위소득인 6만3922 달러(약 7600만원)의 2배에 가까운 12만3700 달러(약 1억4600만원)에 달했다.

인도 출신은 컴퓨터과학과 재무관리, 의료 등 고소득 분야 일자리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내 의사의 9%가 인도계였으며, 이들 중 절반 이상은 이민자였다.

미국 내 한인 가구의 중위소득은 7만4323 달러(약 8800만원)였다.

한인 가구 중 소득이 20만 달러(약 2억3700만원) 이상인 고소득 가구 비율은 13%였고, 4만 달러(약 4700만원) 이하 저소득가구 비율은 32%였다.

미국에서 태어난 가구주가 있는 한인가구의 중위소득은 9만5000달러(약 1억1200만원)였지만, 미국 시민권자가 아닌 가구주가 있는 가구는 5만4000 달러(약 6400만원)였다.

한인가구의 주택 소유 비율은 56%, 25세 이상 중 대학졸업자 비율은 60%였다.

한편 뉴욕타임스가 인용한 출신 국가별 통계는 이번 2020 센서스 결과가 아니라 센서스국이 매년 발표하는 ACS(미국커뮤니티서베이) 추정치를 근거로 한 것이다.

요즈음 미중 무역 전쟁 중이라고 하지만, 미국시민들에게 체감적으로 다가오는 내용은 거의 없다. 소비재가 점점 중국제 대신에 인도제로 바뀌고 있다는 정도일 것이다. 요즈음 미국의 경기는 그야말로 '핫' 하기 때문이다. 미국 경제는 반세기만에 실업률이 4% 이하로 떨어지면서 최저치를 기록하고 실질적 완전 고용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올 대학졸업자들은 두세군데의 취업 오퍼를 놓고 어디로 갈지를 고민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인 10명 가운데 6명은 삶이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고 말한다. 직장의 급여만으로 생계비를 감당할 수 없어 직장을 갖고 있어도 중산층의 삶을 유지하는 것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10월 30일 USA투데이는 진보성향 싱크탱크인 '제3의 길'(Third Way)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미국인들이 종사하고 있는 직업의 62%가 대도시 생활비 대비 급여면에서 중산층의 삶을 살기에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그렇다면 미국에서 중산층의 삶을 위해서는 얼마나 벌어야 할까? 위의 조사를 진행한 제3의 길의 분류에 따르면, 평균 연봉이 2만6,070달러 이하면 생계유지 곤란층, 차 상위층인 2만6,071~4만4,066달러는 밥만 먹고 사는 생계유지층에 해당된다. 중산층이 되려면 4만4,067~7만9,085달러 수준의 연봉을 받아야 한다. 미국인의 평균소득이 6만 달러 정도니, 이 정도의 추산은 근거가 있는 셈이다. 7만9,085달러 이상을 벌어들이는 계층은 최상위 계층에 속한다.

위의 조사에 따르면, 이 연봉 기준을 적용해 보면 미국 내 직업의 30%가 생계유지 곤란층에 해당되는 직업이라고 한다. 일을 해도 성인 1명의 생계유지도 힘든 연봉을 받는 사람들이다. 이어 32%의 직업이 생계유지층에 해당되는 연봉을 지급하고 있다고 한다. 중산층 연봉의 직업은 23%, 최상위 계층의 연봉을 제공하는 직업은 15%를 각각 기록했다. 중산층 이상이 큰 어려움 없이 생활을 즐기는 수준이라고 한다면, 그 비율은 세명 가운데 한명꼴인 38%에 불과하다는 것이 위 조사의 놀라운 현실이다.  

반면에 다른 조사에서는 중산층에 관하여 이것보다는 조금 나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최근 ‘퓨리서치센터’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 내 전체 중산층 세대의 비율은 52%로 반을 넘는 수준이라고 한다. 반면에 최상위 계층은 20%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72%의 가계들이 중산 이상에 속한다는 것은 그리 나쁘지 않은 결과다. 위의 조사와의 차이점은 위의 조사는 개인의 소득에 초점을 맞춘데 반하여, 퓨리서치의 조사는 가계소득에 중심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역시 단지 직장에서의 임금만으로 중산층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 이 그룹에 속하는 사람들 가운데 많은 이가 2가지 이상 직업을 갖고 있거나, 혹은 투자에서 나오는 소득이 있고, 유산 상속이나 다른 가족 중 고소득자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물론 중산층의 기준이 미국 평균과 LA나 뉴욕과 같이 대도시와는 차이가 있다. 대도시에서 미국 평균 정도를 벌었다가는 하위권의 삶을 살아야 한다. 실제로 미 연방 주택도시 개발부가 조사하는 방법은 한 가구의 중간소득이 카운티 중간소득의 80% 미만일 경우 저소득층으로 분류한다.이 기준에 따르면 2018년 현재 뉴욕시에서는 연소득이 1인 가구 5만8,450달러, 2인 6만6,800달러, 3인 7만5,150달러, 4인 8만3,450달러 이하 등이면 저소득층이 된다고 한다. 저소득층이 되면 주택 렌트보조 프로그램인 섹션8 등 다양한 형태의 주택과 렌트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뉴욕 주변의 교외지역인 낫소카운티와 서폭카운티 등 롱아일랜드 지역 4인 가족 기준의 가구당 저소득층 분류 상한선은 8만7,600달러로 뉴욕시보다 4,000달러가량 더 많았다.

일반적으로 뉴욕에서는 연봉 10만 달러 이상은 받아야 중산층 생활이 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사실 고액 연봉자가 많은 뉴욕에서 연봉 10만 달러는 일반적인 대졸자가 사기업에 취직하면 10년 정도 경력을 쌓으면 받을 수 있는 금액이다. 물론 아주 고액 연봉자도 많고, 특별한 기술이 없이 잡일을 하는 사람들은 최저임금을 받으며 비싼 렌트를 부담하는 가난에 시달리기도 한다. 

실제로 미국 전체에서 뉴욕주가 전국에서 소득불평등이 가장 심한 주라고 한다. 워싱턴DC의 싱크탱크 경제정책연구소(EPI)가 2013년 기준 전국 각 주 별 상위 1% 고소득 가구의 평균 소득과 나머지 99%의 평균 소득 격차를 비교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주는 소득 상위 1% 가구의 평균 연소득이 200만6632달러로 나머지 99%의 평균인 4만4163달러의 45.4배에 달해 부의 집중이 전국에서 가장 심하다.  커네티컷주가 42.6배로 두 번째로 빈부 격차가 심한 주였다. 전국 916개 대도시지역 가운데는 와이오밍주 잭슨 일원이 213배로 소득불평등이 가장 심했으며, 뉴욕시 일원은 39.3배로 13위를 차지했다. 카운티 별 순위에서는 맨해튼이 상위 1% 평균 소득이 814만3415달러로 나머지 99% 평균 소득 7만468달러의 115.6배에 달해 조사 대상 전국 3064개 카운티 가운데 4위를 기록했다. 

대부분 한인 이민자들의 목표는 일단 중산층에 속한 다음에 본인 세대 혹은 다음 세대에 상위 계층을 올라가는 것이다. 그리고 여지껏 개인 소매업을 통해 이런 꿈을 착실히 이루어 나간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대형 매장의 등장과 소매업 경쟁의 심화로 이런 시대는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 것 같다. 결국 이민자 2세들이 중산층 이상의 삶을 살려면, 공부를 하고 전문직을 갖는 것이 최선의 방법인 것 같다. 미국에서도 지금 세대는 우리 세대에 비해 인생의 익사이팅과 스스로의 힘으로 성공을 이루는 꿈을 상실하고 살아가는 것 같다. 안타까운 현실이다.   

사진: 물가를 고려한 주별 실질 소득 (2015)

http://time.com/money/5177566/average-income-every-state-real-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