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안녕하세요!

돈 굴리는 남자 입니다.

오늘은 하워드 막스처럼 2차적 사고를 해볼까 합니다.

개인적으로 알아보고자 했던 사항은 메이저 석유기업인 '엑슨모빌의 주가의 저평가 여부'였습니다.

쇠뿔도 단김에 빼라는 말이 있듯이 글로벌 석유 기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엑슨모빌의 주가 적정성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석유 산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석유 패권의 역사

19세기 영국에서 촉발한 산업혁명 이후 현대 문명은 석유 문명이라 할 정도로 석유는 인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 왔습니다. 

석유의 역사는 1859년 에드윈 드레이크가 석유를 증류하여 등유를 만들면서 시작됐습니다.

이후 '존 데이비슨 록펠러'가 1870년 100만 달러의 자본금을 가진 '스탠더드 오일'을 창설합니다. 

1890년대 들어서 미국 내 시장 점유율 90%를 차지한 독점기업이자, 해외에 석유류를 수출하였습니다. 이를 본 다른 국가에서도 산유지를 찾아 원유를 채굴하기 시작했습니다. 

바야흐로 석유의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미국 내에서는 스탠더드 오일의 독점 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반독점법'이 생겼으며, 미국은 반독점법을 이유로 1911년 스탠더드 오일을 34개의 회사로 해체하였습니다. 

당시 미국의 반독점론자들은 독점기업을 해체하면 소비자들에게 더 큰 이익이 올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스탠더드 오일이 해체된 이후 석유 가격은 오히려 올랐습니다.

산업의 집중화와 결합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는 시스템이 무너졌기 때문입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나무위키]

스탠더드 오일의 해체 이후 스탠더드 오일의 후계자 '엑슨, 모빌, 소칼'은 독자적으로 성장한 '걸프오일, 텍사코'와 함께 국제무대로 뛰어들었으며, 영국의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 영국-네덜란드 합작사인 '로열더치셸(Royal Dutch-Shel)'과 함께 '세븐 시스터즈(Seven Sisters)'로 불린 국제 석유 카르텔을 형성됩니다.  

세븐 시스터즈는 제국주의 물결을 타고 전 세계의 석유 자원을 과점하고 있었으며, 중동에서 석유가 쏟아지면서 눈을 지구 반대편으로 돌렸습니다. 

이들은 석유 매장지를 둘러싸고 협정과 분할을 하기도 했는데, 이런 행위는 OPEC(석유수출국기구, 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이 결성되기 전까지 이어졌습니다. 

이들은 1940년대부터 30년간 세계 원유의 공시 가격을 컨트롤할 정도로 무시무시한 전성기를 누렸지만, 1970~80년대 2차례의 석유 파동 이후 아랍 산유국들의 산유 회사 국유화로 인해 이전과 같은 절대적인 영향력을 상실했습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석유파동 이후 영향력이 커진 7개의 석유 회사를 '뉴 세븐 시스터즈(New Seven Sisters)'라고 칭했으며, 이 일곱 회사의 석유 및 가스 매장량은 전 세계의 9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뉴 세븐 시스터즈는 사우디 아라비아의 '사우디 아람코', 말레이시아의 '페트로나스', 베네수엘라의 'PDVSA(Petroleos de Venezuela, S.A)', 러시아의 '가즈프롬', 브라질의 '페트로브라스', 이란의 'NIOC(National Iranian Oil Company)', 중국의 'CNPC(China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

이후 1990년대 후반 오일 가격 하락과 더불어 많은 석유 회사들이 규모의 경제를 만들기 위해 합병의 과정을 거쳐 전 세계 가장 큰 6개 석유회사인 '슈퍼메이저(Supermajor)'가 탄생했습니다.

(슈퍼메이저는 위에 언급된 국영석유기업(뉴 세븐 시스터즈)을 제외한 나머지 회사를 말합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슈퍼메이저는 구 세븐 시스터즈의 엑슨과 모빌이 합쳐진 '엑슨모빌', 소칼과 걸프오일, 그리고 텍사코가 합쳐진 '쉐브론', '로얄더치셸', 'BP', 프랑스의 '토탈', 미국의 '코노코필립스'를 칭하여 세계 정유업계 슈퍼메이저라고 부릅니다. 

참고로 슈퍼메이저는 국영석유기업(뉴 세븐 시스터즈)을 제외한 기업을 말합니다. 

이들 슈퍼메이저들의 석유업계에서의 영향력은 점차 축소되고 있습니다. 

세계 석유산업이 국영석유기업들의 압도적인 영향 아래에 있으며, OPEC이 원유 생산량을 조절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석유시대 종말론

2020년 5월에 코로나 팬더믹으로 인해 원유 수요가 급감하고 공급이 넘치는 상황이 이어져서 원유를 저장할 곳이 없었고, 초유의 유가 마이너스 사태가 일어났습니다. 

2020년 8월에 스탠더드 오일의 적자이며, 화석 연료 시대를 주름잡았던 '엑슨모빌'이 다우지수에서 퇴출시켰습니다. 

2020년 9월 슈퍼메이저 중 하나인 BP는 연례 에너지 전망 보고서를 통해 2020년 이후 석유 수요는 증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2020년 10월 미국 신재생 에너지 기업인 넥스트에라 에너지(NextEra Energy)의 시가총액이 장중 한때 1,500억 달러(약 163조 원)에 육박하며, 미국 최대 에너지 기업인 엑슨모빌의 기업가치를 추월하였습니다. 

위의 사건들은 코로나 팬더믹 이후 1년 동안 일어나 에너지 관련 굵직한 뉴스입니다. 

그리고 이 뉴스만 보면 금방 석유산업이 망할 것으로 보이며, 에너지 전환이 금방이라도 될 듯합니다.

BP가 주장하는 석유시대 종말론을 알아보기 전에 '피크 오일'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크 오일(Peak Oil)

피크 오일은 석유 생산이 최고점에 이르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피크 오일에 대한 주장은 150여 년 전부터 제기되어 왔습니다.
1950년대에 이미 화석연료 고갈론이 등장했고, 1974년 미국 펜실베니아주에선 4년 내 고갈을 예상했습니다.
1909년 미국 연방 지질 보고서는 26년 후 석유가 사라진다고 예상했고, 1956년엔 지질학자인 킹 허버트가 종 모양의 곡선을 그려 보이며 1971년 석유 생산이 정점에 달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사실 오일 쇼크가 발생하면서 그의 예측은 적중한 듯했으나, 이후 석유 생산은 오히려 늘어났습니다.

최근 피크오일 논쟁은 다른 양상을 띄고 있습니다.
기존에 제기되었던 피크 오일은 공급 측면에서 제기되었으나, 이제는 수요 측면에서 제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팬더믹 기간에 석유 수요 자체가 크게 줄어들었고,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수요가 줄어들 것을 우려한 피크 오일이기 때문입니다.

BP의 2020년 에너지 전망 보고서 

슈퍼메이저 중 하나인 영국 석유기업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은 2020년 9월 에너지 전망 보고서를 통해 2020년 이후 석유 수요는 증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BP 보고서 상의 석유 수요 시나리오는 3가지이며, 아래 그림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탄소배출 제로 / 빠른 에너지 전환 / 현상 유지'입니다. 

1) 현상 유지(Business as usual) : 에너지 정책, 기술, 사회적 선호가 지금과 동일한 속도로 변화하는 시나리오입니다. 

2) 빠른 에너지 전환(Rapid) : 탄소세 등 세계 각 국의 석유 소비 억제 정책으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이 약 70% 감소하는 시나리오로서, 2040년 석유 수요는 하루 약 8,000만 배럴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3) 탄소배출 제로(Net Zero) : Rapid 시나리오에 더해 사회 전반의 습관과 선호(Societal behavior and preference)가 변화하는 경우까지 가정한 시나리오로서, 2050년까지 탄소 배출이 95% 감소하게 되고, 2040년 석유 소비량은 하루 약 5,000만 배럴까지 떨어지고, 2050년에는 약 2,000만 배럴까지 하락한다고 예상했습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조선일보]

또한, 보고서는 신재생에너지는 Rapid 시나리오(빠른 에너지 전환) 기준에서 2040년 전체 에너지원별 비중의 33%에 이른다고 추정했습니다.

이는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전망치인 20.7%에 비해 10% 이상 높은 수치입니다.

전기차 보급은 Rapid 시나리오 기준, 2040년에 전기차 비율은 50%에 이른다고 전망하였지만, 이 역시 IEA 전망치인 16%보다 크게 웃돌고 있습니다. 

이런 BP의 과대 전망도 문제지만, 치명적인 2가지 전제조건에 문제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인구 증가 및 GDP 증가량 대비 에너지 총수요가 크게 증가시키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BP는 'UN 2019년 세계 인구 전망'을 그대로 인용해서 2050년까지 인구가 약 20억 명 증가하여 97억 명에 이른다고 했습니다. 또한, GDP는 연평균 2.6%씩 성장하여, 2018년 129조 달러에서 2050년에 297조 달러에 이른다고 가정하였습니다.

인구가 20억 명이 증가하고 GDP가 2배 이상 증가하는 상황이라면, 에너지 사용량도 비례해 늘어난다고 가정해야 되지만, 2018년 576EJ에서 2050년 625EJ로 약 30년간 약 8.5% 정도만 증가한다고 전망했습니다.

두 번째는 석유 수요 감소의 주요 원인을 에너지 효율 개선 외에 신재생 에너지의 확대라고 가정한 점입니다.

향후 인구 증가를 주도하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산유국, 그리고 그 외 개발도상국이 유럽처럼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할 자본과 기술을 향후 10~20년 내 확보할 수 있을지는 매우 불확실합니다. 

또한, BP는 5년 내에 세계 신재생에너지 투자규모가 석유 및 가스 투자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았지만, 여전히 많은 에너지 기업이 석유 및 가스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석유시대 유지론

일전에 다뤘던 '그린 에너지의 종류 및 정책'에서도 다뤘듯이 에너지의 전환 과정은 오랜 시간이 걸리며, 현재 화석 에너지 중심의 패러다임을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시키기에는 기술적, 비용적 한계가 있습니다.

그린 에너지의 종류 및 정책 (feat. 원자력 발전)

안녕하세요! 돈 굴리는 남자 입니다. 요즘 너 나 할 것 없이 '미국, 유럽, 중국, 한국 등' 수많은 선진국이 지구 온난화에 관심이 많습니다. 온난화의 주요 원인은 탄소배출입니다. 국내 탄소배출

rollingcoin.tistory.com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에너지 전환의 현실적 한계를 인지한다는 가정하에서 석유시대 유지론을 주장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로 석유는 비탄력적인 필수소비재라는 점입니다. 

참고로 비탄력적이라는 말은 가격 변화량에 따른 수요 변화량가 크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아래 그림은 20년간의 석유 가격 변화량에 따른 수요 변화량을 나타낸 자료입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많은 사건으로 인해 유가는 수시로 변동했지만, 석유 소비량은 매년 평균 1.2%씩 증가하면서 지난 20년간 약 30%로 증가하는 완만한 우상향 곡선을 그렸습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두 번째로 석유 수요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세계 인구 변화라는 점입니다. 

실제로 지난 20년간 석유 소비량이 우상향 한 가장 큰 이유는 인구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경제 규모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UN의 '2019년 세계 인구 전망'에 따르면 세계 인구는 2019년 기준 약 77억 명이며, 2040년에 92억 명에 이르고, 2057년에 100억 명을 돌파한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인구 증가는 에너지 소비를 늘리고, 경제 규모를 키웁니다.

경제 규모가 커짐에 따라 이동하는 사람의 수와 물자의 양도 늘어날 것이며, 석유의 수요도 함께 늘어날 것입니다. 

특히 인구 증가를 주도하는 나라들이 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산유국이라는 점도 석유 수요 증가 쪽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UN은 향후 인가 증가율이 높은 나라로 인도, 나이지리아, 인도네시아, 콩고, 이집트, 사우디, 이란 등을 지목했으며, 이 국가들은 석유 경제를 포기할 수 없는 나라들입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세 번째로 신재생 에너지 전환의 한계입니다.

인구 외에도 석유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신재생 에너지 확대, 전기차 보급, 에너지 효율 개선 등'이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현재 14.1% 수준의 신재생 에너지의 비율이 2040년에 20.7%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신재생 에너지는 전기만을 생산합니다.

추후에 기술이 발전하여 신재생 에너지로 수소를 생산하고, 석유를 대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현재 기술로는 아직 많은 인프라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제외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신재생 에너지는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화력발전을 대체할 것입니다.

따라서 신재생 에너지 증가로 인해 석유의 수요량이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다만, 전기차가 늘어나서 기존의 휘발유, 경유 등의 수요가 줄어드는 것은 석유 수요 감소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2040년 전 세계의 차량 수는 약 20억대로 예상되며, 이 중 전기차의 수는 IEA가 3.3억 대, OPEC이 2.8억 대, 블룸버그는 5.6억 대를 제시했습니다. 가장 많은 예상치인 5.6억 대가 전기차로 채워져도 여전히 14억 대 이상의 내연기관차가 남아 있으며, 2020년 현재 전 세계 차량이 약 14억대 정도이기 때문에 전기차가 늘어나도 결국 지금과 비슷한 수준의 석유 소비량이 유지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물론 IEA는 전기차의 증가보다 에너지 효율 개선으로 인해 석유 소비량 감소가 더 클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만, 지금과 같이 석유시대가 종말 하거나 신재생 에너지와 전기차의 보급이 획기적으로 석유 수요량을 감소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에너지 기업 시가총액 (신재생 에너지 vs 석유 에너지)

에너지 패러다임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신재생 및 석유 에너지 대표 기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재생 에너지 기업과 석유 에너지 기업을 모두 알아보는 이유는 신재생 에너지 기업의 고평가 위험과 석유 에너지 기업의 저평가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조선비즈]

신재생 I. 넥스트에라 에너지(NextEra Energy)

  : 넥스트에라 에너지는 플로리다파워앤라이트(FPL), 걸프파워, 넥스트에라 에너지 리소스(NEER, NextEra Energy Resources)를 자회사로 보유한 지주회사입니다.

넥스트에라는 연 54GW의 전기를 생산 및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70%를 재생에너지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넥스트에라의 자회사인 넥스트에라 에너지 리소스(NEER)는 풍력과 태양광에 특화돼 있으며, NEER이 1년 생산하는 전력량은 24GW로, 풍력과 태양광이 19GW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이며, 풍력과 태양광 시장이 커질수록 1등 기업인 넥스트에라가 수혜를 볼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NEER은 에너지 저장 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개발을 본격화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수요에 따라 공급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전력을 충전했다가 필요한 곳에 공급해줄 수 있는 ESS 설비에 대한 투자가 선제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구글, 넥스테라 에너지(NEE)]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Investing.com, NEE]

신재생 II. 에넬(Enel)

  : 에넬은 가스, 신재생에너지, 전력 인프라, 발전, 전기차 등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1999년 이탈리아의 전력 시장이 자유화되며, 에넬도 민영화되었습니다. 

민영화된 후 유럽 전역뿐 아니라 북미, 남미, 아프리카 등 전 세계에 전기와 가스를 공급하는 글로벌 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2019년 에넬이 전 세계 35개국에 걸쳐 생산하고 있는 에너지양은 총 89GW입니다. 

에넬의 주력사업은 '전력 인프라 및 전력망 관리 / 발전과 전력 판매 / 신재생 에너지 / 스마트 그리드'입니다.

특히, 에넬은 향후 10년간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발전능력 강화를 위해 700억 유로(약 92조 원)를 투자할 계획을 발표하며, 신재생 에너지 선두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구글, 에넬(ENEI)]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Investing.com, ENEI]

신재생 III. 이베르드롤라(Iberdorola)

  : 이베르드롤라는 1992년 스페인 빌바오에 설립된 에너지 생산 기업으로 총 자산 약 350억 유로를 보유하고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신재생 에너지 기업이자 스페인 2위의 전력 생산 그룹입니다.

이베르드롤라는 5년간 재생에너지에 100조원을 투자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선도적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로 인해 2020년 11월에는 영국의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 시가총액을 뛰어넘었습니다. 

또한 이베르드롤라는 볼보와 스페인에 전기차 인프라(전기차 충전 솔루션) 확충에 나서고 있습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구글, Iberdrola SA(IBE)]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Investing.com, IBE]

신재생 IV. 오스테드(Orsted)

  : 덴마크 국영기업이며, 2008년 기존 화석연료 중심 사업에서 신재생에너지 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하여 오늘날 세계 최대 해상풍력발전 사업자로 입지를 굳혔습니다. 

현재 오스테드는 전 세계 해상풍력 발전소의 약 4분의 1을 운영하고 있으며, 세계 풍력 발전량의 약 8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스테드는 아마존과 유럽에서 10년간 풍력 발전으로 생산하는 전기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영국 정부의 '수소 태스크포스(TF)'에 합류해 영국의 수소 전략 이행에 필요한 해상풍력 설비와 기술 등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구글, 오스테드(ORSTED)]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Investing.com, ORSTED]

석유 I. 엑슨모빌

  :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스탠더드 오일의 적자이며, 코카콜라와 더불어 가장 미국적인 회사입니다.

2020년 1~2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도 주주와 약속한 '8% 배당'을 지키기 위해 회사 비용 지출을 30%나 절감한 회사입니다.

다른 기업처럼 신재생 에너지에 투자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으며, 인구 증가에 따른 석유 수요 증가를 기대하며 석유 산업에 집중하는 모습입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구글, 엑슨모빌(XOM)]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Investing.com, XOM]

석유 II. 쉐브론

  : 쉐브론은 에너지 대기업 중 처음으로 예산 삭감을 단행하고, 직원을 감축하는 조직개편안도 내놨습니다.

국제 유가가 순간적으로 폭락하면, 원유를 정제해 생산한 석유제품 가격이 원유 도입 가격보다 더 낮아 손실을 보며 팔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엑슨모빌이 조직개편 계획을 수개월간 세우지 않다가 지난 9월이 되어서야 현금흐름 악화를 버티지 못하고 구조조정에 들어갔던 점과는 매우 다른 모습입니다.

다른 유럽 에너지 기업과 마찬가지로 쉐브론도 자회사 '쉐브론 테크놀로지 벤처스'를 통해 청정에너지 기업과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구글, 셰브런(CVX)]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Investing.com, CVX]

석유 III. 로얄더치쉘

  : 로얄더치쉘은 엑슨모빌과 비슷한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이끄는 중역들이 회사를 나가고 있으며, 그 이유는 고위 임원들이 급격한 변화를 마음먹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수익성이 불분명한 친환경 사업에 투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우려하는 고위 임원도 있기 때문에 탄소 제로를 준비하는 시대적 변화에 뒤쳐질 것이라는 위기감 때문에 회사를 나간 것으로 추측됩니다.  

하지만 로얄더치쉘은 유럽 기업이다 보니 미국 기업인 엑슨모빌 대비 저탄소 전략을 점진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구글, Royal Dutch Shell Plc(RDSA)]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Investing.com, RDSA]

석유 IV. BP

  :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BP는 글로벌 석유 수요가 이미 정점이었다는 비관적 전망을 나타냄과 동시에 저탄소 에너지 회사(신재생 에너지 비중 확대)로의 전환에 가장 빠르게 적응하는 모습입니다.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구글, BP Plc(BP)]
스탠더드 오일 나무위키 - seutaendeodeu oil namuwiki
[출처 : Investing.com, BP]

사실 엑슨모빌에 투자하려고 알아보기 시작했지만, 석유 소비가 언제 다시 돌아설지 모르기 때문에 좀처럼 투자 결정을 못 내리겠습니다.

석유 기업을 매수하기에는 바이든의 친환경 정책의 파급력, 코로나 백신 생산율 대비 더딘 접종률 등을 고려하면 석유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망설여지는 건 사실입니다. 

반대로 신재생 에너지 및 전기차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공감하지만 그게 얼마나 빠르게 재무제표 상으로 증명될지는 미지수입니다.

그래서 신재생, 연료전지, 자율주행, 전기차 기업에 쉽게 매수 버튼이 안 눌러지나 봅니다. 

결론적으로 최소한 백신 접종 속도가 가장 빠른 이스라엘의 상황과 미국 및 유럽 접종률 모니터링을 꾸준히 하면서 그 접종 속도가 한차례 가속되면 그때 '엑슨모빌'에 투자를 고려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모두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