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슬개골 탈구 초기 증상 - gang-aji seulgaegol talgu chogi jeungsang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발표한 ‘2020년 반려동물 보호와 복지관리 실태에 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작년 기준 대한민국에 등록된 반려견은 약 232만 1,000마리에 달한다. 이처럼 반려견 양육 가구가 많은 만큼 반려견 건강과 질환에 대한 관심도 역시 늘어나고 있다. 그중 강아지들이 제일 많이 걸린다는 슬개골 탈구(Patella luxation)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초기 증상 - gang-aji seulgaegol talgu chogi jeungsang
소형 견종의 대다수가 슬개골 탈구를 겪고 있다ㅣ출처: 게티이미지 뱅크


소형견주에게 슬개골 탈구는 큰 고민거리다.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많은 전문가들이 국내 반려견의 70~80%가 슬개골 탈구를 가지고 있으며, 체중 5kg 미만 소형견의 경우 약 90%가 슬개골 탈구를 가지고 있다고 예상한다.

슬개골은 무릎 앞에 있는 무릎뼈로 무릎 관절을 보호하고 다리 근육을 당겨 반려견이 걷고 뛰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슬개골 탈구는 대퇴골 활차구의 깊이가 변형되거나 낮아 슬개골이 고정되지 못하고 빠져 버리는 질환이다. 만약, 반려견의 슬개골이 탈구되었다면 다리 근육도 뒤틀려 걷기 힘들어하고 있을 것이다.

슬개골 탈구는 대부분 하중이 실리는 뒷다리에 대부분 발생한다. 혹시, 반려견이 뒷다리를 심하게 절름거리거나, 반려견의 슬개골이 원래 위치에서 빠져나와 무릎 좌우로 흔들리거나, 반려견이 갑자기 아픈 쪽 다리를 들고 깡충 뛴다면 슬개골 탈구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반려견의 무릎을 손으로 만졌을 때 무릎뼈가 빠지는 느낌이 들거나, 반려견 무릎에서 뚝뚝 소리가 나는 경우에는 슬개골 탈구를 의심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해야 한다.

슬개골 탈구는 탈구 상태와 증상에 따라서 1~4기로 구분할 수 있다. 초기 단계인 1~2기는 슬개골의 이탈 범위가 좁고 제자리로 돌아올 복원성이 존재한다. 반면, 3~4기의 경우 슬개골이 무릎 좌우나 뒤로 돌아가 반려견이 큰 고통을 느끼게 되며 외부의 도움이 없이는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아 반려자가 자주 다리 마사지를 해줘야 한다. 슬개골 탈구는 1~2기에 발견하여 수술한다면 재발할 확률이 희박하지만, 3~4기로 진행된 후에 치료를 받는다면 20~40% 정도의 재발률을 보인다.

슬개골 탈구는 반려견에게 큰 고통을 줄 수 있는 진행성 질환인 만큼, 예방 조치를 서둘러 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적절한 관리가 없으면 재발되는 질환이기에 무릎에 무리를 주는 습관과 환경을 바로잡아주는 것이 가장 좋다.

슬개골 탈구를 유발하는 환경으로는 ▲미끄러운 바닥 ▲높은 의자나 침대 ▲가파른 계단 등이 있다. 슬개골이 다리의 압력을 크게 받는 부위이기 때문에 반려견 관절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주변 환경을 바꾸어 주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과체중, 점프, 두발 서기 등의 습관도 슬개골 탈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저도 유기견들을 오랫동안 키워오면서 별의별 병이나 수술을 다 해주고 있는데 슬개골 탈구는 경우에 따라서는 정말 수술비도 많이 들고 수술도 큰 수술에 들어갑니다. 저희 강아지는 이미 저희 집에 왔을 때 3기가 넘어서 동네 병원에서는 사형선고처럼 느껴지더군요 ㅜ 새벽기도까지 해가며 정말 많이 울고 고생했네요.

 

다행히 부천에 있는 관절 수술로 유명한 병원을 소개받게 되어서 기적처럼 수술 잘 받고 걷고 뛰 다니는 걸 보면 보람이 있습니다. 아이가 아프면 맘이 많이 아프죠 ㅠㅠ

강아지들 허벅지 관절을 만져보면 관절 홈의 슬개골이 제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을 때 슬개골 탈구가 발생하는 것인데요. 진행 형태에 따라 1기에서 4기로 나뉘며 관리만 잘해 주시면 1기에서 자연 치유되는 경우도 있어요. 잠시 슬개골 탈구의 진행 과정과 의심 증상, 원인과 치료에 대해 간략히 서술할게요

 

슬개골 탈구 의심 증상

1.  절뚝거리며 다리를 절 때

2.  다리를 저는 모습을 보이다가 힘 없이 쓰러질 때

3.  한쪽 다리를 들고 다닐 때

4.  평소라면 잘 뛰어오르던 높이를 주춤하거나 시도조차 하지 못할 때

5.  절쭉대는 다리에서 딱딱 소리가 들릴 때

 

​강아지 슬개골 탈구 진행 상태

 

1기: 슬개골이 정상적인 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나 물리적인 힘을 가하면 탈골됨.

      그러나 곧 제자리로 돌아옴.  걸음걸이도 정상적임- 수술 안 해도 되지만 약과 운동 치료 요함

 

2기: 1기와 비슷하지만 인위적으로 힘을 가했을 때 탈골된 것이 다시 돌아오지 않을 수 있음.

      (슬개골이 스스로 빠지는 시기)  때문에 절뚝대거나 걸음걸이가 불편해 보임.-수술 필요

 

3기: 계속 탈골되어 있는 상태. 내측이나 외측으로 슬개골이 빠져있음.

      인위적인 힘으로 탈골된 것을 다시 돌려놓을 순 있지만 무릎 관절을 피는 순간 다시 탈골됨.

 

4기: 아무리 정상 위치로 돌려놓으려고 손으로 만져봐도 돌아오지 않음.

      엄청난 고통을 호소함 ㅠㅠ

 

 

보통 4기가 제일 고통스러울 거라고 생각하시는데 3기 때 애들이 제일 힘들어해요.

저희 강아지 콩지도 3기 말? 3~4기였는데 둘 중 덜 심한 다리는 수술 못하고 심한 다리만 수술을 했습니다

잘 참는데 얼마나 아파서 우는지 ㅠㅠ  저도 같이 울었어요

4기 때는 통증이 심한 단계를 넘어섰기 때문에 오히려 애들이 다리 끌면서 다녀요.

3기 때는 탈골됐다가 펴졌다가 반복되기에 고통스러워하는 듯합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원인과 수술후 관리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선천적인 이유'를 꼽아요.

슬개골 탈구는 토이푸들이나 몰티즈, 포메라니안, 요크셔테리어 등

우리 콩지 같은 소형견 친구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질병이에요.

또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뛰어내리는 등의 충격으로 관절에 이상이 생겨 걸리기도 해요.

그래서 미끄러운 바닥에서 오래 생활하거나 자주 뛰어오르는 행동을 보이면

주의시키고 세심하게 관리해 주어야 합니다.

 

저희 콩지는 12세 몰티즈 남아입니다. 유기견으로 와서 얼마 후에 발견했어요

이미 많이 늦은 상황이었고 퇴행성 관절염 의심증상까지 보이고 십자인대 파열까지 와서

큰 수술을 했습니다. 수술비도 많이 들고 저랑 같이 고생도 많이 했어요

수술도 기적이었는데 이제는 걷고 산책하고 하지만

제 개인적인 소견으론 질문자님의 강아지는 무리하지 않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재발도 잘되고 1기에서 2기 3기는 바로 될 수도 있어요

1기라고 안심하고 운동하고 무리하면 바로 2기 3기 됩니다.

일단을 병원에서 시키는 대로 약 먹이시고 살살 걷는 가벼운 산책 정도만 (30분 이내, 평지) 하시고

뛰거나 뛰어내리는 동작은 못하게 하셔야 해요. 오르는 동작보다 내려가는 동작이 무리가 됩니다.

바닥도 미끄럽지 않게 미끄럼 방지 전용으로 깔아주시고 계단 필수...운동은 뒷다리 근육이 강화되도록 해주세요. 근육이 붙으면 관절도 건강해지더라고요. 병원에서 파는 관절 사료로 먹이 시구요.

무리해서 뛰는 것보단 안전하게 돌보고 좀 안 좋다 싶으면 무리하지 않도록 1인 캐비지에 넣고 안정시켜야 해요. 저는 그렇게 합니다. 좋아 보여도 산책 안 시키고 집 옥상에서 잠시 걷거나 놀게 해 주고 안 좋아 보이면 바로 캐비지 안에 넣고 안정시키면 며칠 후면 다 낫더라고요

강 아이 나이도 중요하고 생활환경도 중요하고 발 관리도 중요합니다. 일단 나빠지면 너무 힘들어요

수술을 해도 재활하고 뛰거나 운동 가능합니다. 그러나 전혀 아프지 않을 때처럼 뛰거나 놀지는 못해요

그렇다고 해도 조심하고 주의해서 무리하지 않도록 돌봐주어야 오래오래 건강하게 걸을 수 있어요

탈구로 수술도 시키고 재활도 해보고 기르고 있는 입장에서는 뒷다리 근육 강화할 만큼의 걷기 운동만 시키시고 뛰거나 무리한 움직임은 악화되지 않도록 절제하는 게 현명하리라 생각합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예방

사실 제일 중요한 것은 치료 보다 예방입니다. 일단 사료를 저는 병원에서 관절 사료를 먹입니다. 관절영양제도 수술 후 먹이는 것보다 아프기 전에 미리 미리 먹이면 좋죠. 꼭 아래의 상품이 아니어도 좋습니다. 저는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 먹이는데 그냥 관절영양제 말고 녹색홍합, 초록잎 홍합이 든 제품을 먹이시면 좋습니다. 기호성도 좋아서 잘 먹습니다. 

 

 

쌍트베른하르트 반려묘 초록잎홍합(녹색홍합)90캡슐 관절영양제

COUPANG

www.coupang.com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은 아이들이 보통 실내에서 생활을 하기 때문에 관절들이 다 약해집니다. 어쩔 수가 없어요. 바닥이 보통 미끄럽기때문입니다. 그래서 바닥을 아이들의 발에 편한 것으로 깔아주고  함부로 오르고 뛰어 내리지 못하도록 계단을 놓아주는 것이 관절이 탈구 되지 않게 예방하는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저는 이런거 샀는데 찾아보시면 무늬도 다양하고 길이도 자유롭게 구입가능합니다. 카펫트 다 없애고 저는 하늘색 개발바닥 으로 된 것으로 다 깔았답니다.

 

 

 

딩동펫 애견 미끄럼방지 매트

COUPANG

www.coupang.com

 

 

눈독들이다 반려동물 매트 4p

COUPANG

www.coupang.com

매트랑 계단 한번 내 집이나 아이들에게 맞는 것으로 찾아 보세요. 계단은 층이 없는 것도 있어요. 쇼파나 침대의 높이에 따라 맞는 것을 해주시고 여러개 같이 놓아주어도 좋습니다. 이것만 미리 잘 해주어도 관절사고 안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는 혼자 키우면서 깨달은거라 이미 수술을 했네요 ㅠㅠ

 

 

 

레드퍼피 세리나 펫스텝

COUPANG

www.coupang.com

 

 

8 DECO 강아지계단 방수모음 1단2단3단4단 (커버+솜포함)

COUPANG

www.coupang.com

그리고 강아지들 발바닥 털깎아 주는 것이 있으면 좋습니다. 강아지들은 발바작이 가장 예민해요. 그래서 만지는 거 싫어하죠. 보통 이발기나 바리깡은 좀 칼날이 있고 소리고 커서 아이들이 놀랍니다. 그런데 이건 무선으로 충전해서 쓰는 거고 다칠 위험도 없고 안아서 살살 발바닥 사이 사이 털을 밀어주면 안심됩니다.

 

 

 

HON 무선 애완견 애견 이발기 강아지 발바닥 털 고양이 발 손 깍기 셀프 미니 클리퍼 바리깡 미용

COUPANG

www.coupang.com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희 아이는 이미 양쪽 무릎 슬개골 수술을 다 했고 십자인대까지 끊어져서 다 수술을 하고 오래동안 저와 재활도 하고 지금은 건강합니다만 수술을 했다고 해서 전처럼 막 뛰고 걷게 하면 안되기에 항상 주의하고 조심히 데리고 있습니다. 약간씩 걷고 놀게 해주고 오랜 시간 산책이나 외출을 할 때는 유모차에 태워서 구경시키고 깨끗하고 좋은 길이 나오면 잠시 걷게 해주고요. 세일중인 유모차 사서 여행갈 때 차에 싣고 걷다가 태우다가 다녀왔어요 한번에 잘 접히고 두마리 태울수 있어요, 물건대비 가격도 저렴합니다. 혹시 몰라서 추천해봅니다